한화오션이 사업장 안전 문화 구축을 위한 아낌없는 투자를 약속했다. 최근 한화오션에서 근로자 사망 사고가 잇따라 발생해 안전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진 것을 의식한 행보로 풀이된다.
한화오션은 18일 조선소 안전 관련 예산을 오는 2026년까지 1조 9760억원으로 확대할 계획을 발표했다. 특히 안전 예방을 위한 상시 예산은 매년 확대해 향후 3년간 1조 1300억원을 편성한다. 올해는 지난해(3212억원) 보다 288억원 증가한 3500억원을 투자하고, 2025년에는 3800억원, 2026년에는 4000억원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한화오션 이번 투자 목표는 ‘무재해 사업장’ 구현이다. 구체적으로는 △조선소 전체 스마트 안전 시스템 구축(650억원) △선제적 노후 설비·장비 교체(7000억원) △선진 안전 문화 구축(90억원) △안전 아카데미 설립(500억원) △협력사 안전 지원 및 안전요원 확대(150억원) △정기적 안전 평가 및 안전경영 수준 향상(70억원) 등 6개 분야에 집중 투자한다.
한화오션의 이같은 움직임은 생존전략과 맞닿아있다. 지난 2022년 1월부터 시행된 중대재해처벌법은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사업주· 경영책임자가 의무를 위반해 근로자가 사망· 중대재해를 당하면 사업주 및 경영책임자를 형사처벌하고, 해당 법인에는 벌금을 부과한다.
특히 사망 재해의 경우 경영책임자 등에게는 1년 이상의 징역 또는 10억 원 이하 벌금(병과 가능)에 처하고, 법인에 대해서도 50억원 이하의 벌금형을 부과할 수 있다.
최근에는 위반 혐의로 대표가 구속되는 사례가 늘어 산업계 긴장감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더욱이 한화오션은 최근 잇단 노동자 사망사고로 인해 경영진 국감 소환 가능성까지 커지고 있다.
실제 한화오션 사업장에서는 올해 들어 벌써 총 5명이 사망했다. 이 중 중대재해로 사망한 노동자는 3명이고, 나머지 2명은 온열질환 의심 사망, 원인불명 익사다.
한화오션만의 문제는 아니다. 올해 조선소에선 노동자 사망사고는 끊이지 않고 있다. 노동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에만 조선소에서 10건의 사고로 14명의 노동자가 사망했다.
노동계는 사망사고가 일감이 밀려 무리하게 작업을 강행해야 하는 조선소 근무 환경에서 비롯됐다는 입장이다. 조선사는 선박 인도가 지연될 경우 거액을 배상해야 한다.
실제 최근 수주 호황으로 조선소가 납기를 맞추기 위해 가동 여력의 한계치에 달하는 작업량을 소화 중에 있다. 한화오션의 올해 상반기 사업장 가동률은 101%다. HD한국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 역시 각각 102%, 112%였다.
조선사 노조 관계자는 “조선사 중대 재해의 주요 원인은 무리한 공정진행과 안전책임이 없는 재하도급 확대, 원·하청의 안전관리 책임과 역할 불명확 등이 꼽힌다”며 “정부의 제도와는 별개로 기업들이 앞장서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