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비수도권 PF 대출 잔액은 48조3000억원으로 수도권(82조1000억원)을 포함한 전체 잔액(130조4000억원)의 37%를 차지했다. 비수도권 PF 대출 연체율은 3.86%로 서울(2.93%), 경기(2.77%)에 비해 높았다. 지역별 연체율은 세종(22.03%)이 두 자릿수로 가장 높았고 제주(8.92%), 전남(7.4%) 순이었다.
전체 PF 잔액 중 2금융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64%에 달해 부실이 크게 우려된다. 2금융권이 주로 취급하는 토지담보대출 잔액(비수도권)도 10조원을 넘었다. 비수도권 토담대 잔액은 10조1000억원으로 전체 토담대(약 24조원)의 42% 수준이다. 연체율은 15.33%로 수도권(13.89%)보다 1.44%포인트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상황이 악화되자 금융감독원은 PF 사업장 정리가 부족한 저축은행 CEO를 다음 달 1일 소집한다. 금리인하기를 맞아 부동산 시장이 회복될 것으로 기대하는 일부 저축은행들이 부실 사업장 매각에 나서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일부 저축은행에 대해선 현장 점검도 계획 중이다.
![아주경제 1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10/28/20241028074059190745.jpg)
![아주경제 2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10/28/20241028074115496787.jpg)
![아주경제 3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10/28/20241028074125213034.jpg)
![아주경제 22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10/28/20241028074139670936.jpg)
![아주경제 23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10/28/20241028074153444987.jpg)
![조선일보 1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10/28/20241028074208250170.jpg)
![중앙일보 1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10/28/20241028074224638428.jpg)
![동아일보 1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10/28/20241028074237887512.jpg)
![매일경제 1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10/28/20241028074248649085.jpg)
![한국경제 1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10/28/20241028074303219531.jpg)
![신문으로 보는 오늘의 대한민국2024년 10월 28일자](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10/27/20241027160531262115.png)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