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정보 유출 우려" 대만, 딥시크 이용금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조재형 기자
입력 2025-02-01 15:0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이탈리아도 이용 차단·네덜란드는 주의 경고…영국·독일도 경계

중국 딥시크의 등장에 따른 유럽 인도 한국의 반응을 챗GPT로 생성한 이미지 사진챗GPT
중국 딥시크의 등장에 따른 유럽, 인도, 한국의 반응을 챗GPT로 생성한 이미지 [사진=챗GPT]

대만이 각 부처와 정부기관에서 중국산 인공지능(AI) ‘딥시크’를 금지한다고 밝혔다. 중국으로 흘러갈 정보 유출 우려 때문이다. 미국과 이탈리아 등도 딥시크에 대한 금지 조치에 나섰다.
 
3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대만 디지털부는 이날 공공부문 근로자들에게 딥시크의 AI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중국 정부로 데이터가 유출돼 국가 안보에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며 사용 금지 조치를 내렸다고 밝혔다.
 
디지털부는 성명에서 “딥시크 AI는 중국의 정보통신기술(ICT) 제품이자 서비스로 국경 간 (데이터) 전송, 정보유출, 기타 정보 보안 문제를 수반하며 국가의 정보 보안을 위태롭게 한다”며 정보 보안 위험을 막기 위해 이같이 조치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부는 또 2019년 행정원 규정인 ‘국가 사이버 안보를 위험에 빠뜨리는 제품 사용 제한 원칙’에 따라 정부기관이 국가 안보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ICT 제품 및 서비스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딥시크가 최근 내놓은 AI 모델은 미 최고 모델의 10분의1도 안되는 비용을 들여 개발했지만, 성능은 이에 버금간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미 테크업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딥시크의 돌풍에 세계 주요국들은 정보 유출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AI칩 선두주자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와 딥시크의 AI 충격에 따른 대(對)중국 추가 수출규제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탈리아 개인정보 보호 기관 가란테는 개인정보 사용의 불투명성을 들어 지난달 29일부터 딥시크 사용을 차단했다. 네덜란드 당국은 딥시크의 개인정보 수집과 관련해 조사에 착수하기로 하고 자국 사용자들에게 딥시크 서비스 사용에 주의하라고 경고했다.
 
영국 정부는 딥시크를 국가 안보 측면에서 살펴보고 있으며 독일 당국 역시 딥시크 앱 규제 가능성을 들여다보고 있다. 한국 개인정보보호위원회도 딥시크에 개인정보 수집 항목과 절차, 처리·보관 방법을 확인하는 공식 질의서를 발송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