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서울 지역 아파트 매매는 물론 임대차 거래도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규제 강화와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심화한 부동산 시장 경색이 해를 넘어 이어지는 모양새다.
6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전날까지 신고된 서울의 1월 아파트 매매 계약건은 1933건으로 전달 3109건과 비교해 38% 가까이 줄었다. 신고 기한(거래일로부터 30일)이 남아 있긴 하지만, 2000여건 수준에서 머물 것으로 관측된다.
전월세 거래도 쪼그라들었다. 전세 계약건수는 같은 기간 9422건에서 7785건 줄었다. 지난해 연중 최고치를 찍은 지난해 1월(1만3891건)과 비교하면 반토막 난 셈이다.
월세 거래도 지난해 12월 7840건에서 올해 1월 5179건으로 급감했다.
이는 연초 임대차 시장을 떠받치던 학군지 거래가 급감한 데 따른 것이다. 통상 새 학기를 앞두고 연초에 임대차 거래가 활발하지만 올해는 이런 현상이 크게 둔화했다. 서울을 대표하는 학군지가 있는 강남(대치동)·양천(목동)·노원구(중계동)의 올해 1월 전세 거래량은 총 1393건으로 전달(1980건)보다 29.6% 줄었다. 1년 전인 지난해 1월 3289건보다 57.6% 급감했다.
자치구별로 보면 강남구 소재 아파트의 전세계약 거래 건은 지난해 1월 1417건에서 올해 1월엔 510건으로 3분의 1토막이 났다. 노원구는 1197건에서 521건으로 절반 이상 줄었고, 양천구는 675건에서 362건으로 46.4% 감소했다.
전달과 비교해도 감소폭이 컸다. 강남구의 1월 거래량은 전달인 지난해 12월(792건)보다 35.6% 쪼그라들었다. 노원구와 양천구는 각각 29.5%, 19.4% 감소했다.
월세 시장 상황도 다르지 않다. 강남구에선 지난해 1월 1004건의 월세 계약이 체결됐지만 올해 1월엔 417건에 그쳤다. 노원구(633건→300)와 양천구(343건→222)도 마찬가지였다.
신고 기한이 남아있기는 하지만 전세와 월세 거래량 모두 1년 전 수준에는 못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지난해 9월 시작한 정부의 강력한 가계대출 규제와 지난 연말 12·3 비상계엄 사태가 촉발한 정치적 불확실성이 장기화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장은 "대출 규제 여파와 학령인구 감소 등으로 새 학기를 앞두고도 이동 가구 수가 많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 주거용 부동산팀장은 "아파트 입주 물량이 크게 줄고, 규제와 가산금리 등의 영향으로 대출을 받기 어려워진 환경 때문에 당분간 학군지의 임대차 거래도 축소될 수 있다"면서 "다만 정부의 대출 규제 방향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