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불 위험이 높은 건조한 봄철, 산불 피해 예방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2015년부터 2024년까지 최근 10년간 산불이 한해 평균 546건 발생했으며, 평균 4002ha의 산림 피해가 있었다고 19일 밝혔다.
특히 봄철인 3월과 4월에 전체 산불의 46%(251건)가 발생했으며 이로 인한 산림 피해 면적은 전체의 86%(3424ha)에 달했다. 봄철은 건조한 바람이 불고 메마른 풀과 낙엽 등이 남아 있어 산불 발생, 확산 가능성이 유독 크다.
산불 원인으로는 입산자 실화가 171건(37%)으로 많았다. 뒤이어 쓰레기 소각 68건(15%), 논·밭두렁 소각 60건(13%) 순이었다.
이에 행안부는 봄철 산불 예방 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우선 입산 시 성냥이나 라이터와 같은 화기 물질을 가져가지 않고 야영과 취사는 허가된 구역에서만 하도록 한다.
산과 인접한 곳에서는 논‧밭두렁을 태우거나 영농부산물‧쓰레기를 무단으로 소각하지 않도록 한다. 산림으로부터 100m 이내에서 소각행위는 처벌 대상에 해당한다. 또 산과 인접한 곳에서 흡연하지 않고 운전 중에 담배꽁초를 버리지 않도록 한다. 화목보일러를 사용하고 남은 재는 불씨를 완전히 없앤 후 처리토록 한다.
사소한 부주의나 실수로 인한 산불이라도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 산불 관련 처벌 규정에 따르면 ‘과실로 인해 타인 또는 자기소유의 산림을 불에 태워 공공을 위험에 빠트린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내야 한다.
2015년부터 10년 동안 산에 불을 낸 혐의로 검거된 사람은 총 2189명이다. 검거된 사람은 매년 200명~300명 수준이었으나 지난해 93명으로 크게 줄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