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가 출간 예정인 '국민이 먼저입니다'에 12·3 비상계엄 직후인 지난해 12월 4일 윤석열 대통령이 '국회 해산도 할 수 있었는데도 국회 해산을 하지 않았다'는 취지의 발언을 자신에게 했다는 대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이 헌법에 명시되지 않은 '국회 해산권'을 고려했다는 주장으로, 사실로 확인될 경우 막바지에 다다른 윤 대통령 탄핵심판에도 적잖은 파장을 불러올 것으로 관측된다.
20일 동아일보에 따르면 전날 예약 판매를 시작한 한 전 대표의 저서에는 비상계엄 사태 당시의 비화들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한 전 대표는 윤 대통령이 국회의 계엄 해제 이후 해당 행위를 야당을 향한 '경고성 계엄' 차원이었다고 밝힌 데 대해 "의원들이 모이기 어려운 오후 10시 넘어 기습적으로 계엄을 선포한 것을 보면 윤 대통령에게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 결의를 막겠다는 의도가 있었던 것은 분명하다"는 취지로 반박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비상계엄 선포 직후 계엄군 병력이 국회 본청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불거졌던 '정치인 체포조' 논란과 관련, 한 전 대표는 비상계엄 발동 직후 휴대전화를 끄고 가족과 함께 피신하라는 연락을 받았다고 한다.
한 전 대표는 국민의힘 당대표로서 비상계엄 해제를 위해 여의도로 향하던 도중 한 여권 인사로부터 "체포되면 정말 죽을 수 있다. 그러니 즉시 은신처를 정해서 숨어라. 추적 안 되게 휴대폰도 꺼놔라. 가족도 피신시키는 게 좋겠다"는 언질을 받았다.
한 전 대표가 다음 날 윤 대통령과의 면담 자리에서 '여당 대표를 체포하려 한 이유가 무엇이었는지' 물었지만, 윤 대통령은 "전혀 그런 사실이 없다. 만약 정치인 체포를 하려 했다면 방첩사령부를 동원했을 텐데 이번 계엄에서 방첩사를 동원하지 않았다"는 취지로 부인한 상황도 책에서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윤 대통령의 부인과 달리 계엄 당일 방첩사 요원들이 국회와 선관위 등에 투입된 것으로 확인됐다.
한 전 대표는 책에서 12·3 비상계엄은 위헌이라는 점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전 대표가 윤 대통령이 공석이던 국방부 장관에 한기호 의원을 지명하려던 것을 막은 일화도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한 의원은 지난해 12월 13일 관련 사실을 인정하며 "고사했다"고 밝힌 바 있다. 한 전 대표는 한 의원에게 두 차례 전화를 걸어 절대 국방부 장관 지명을 수락하면 안 된다고 간곡히 요청했고, 한 의원도 결국 국방부 장관직을 수락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 밖에도 '평양 무인기' 의혹에 대해 미국 측이 문제 제기한 정황, 한 전 대표가 계엄 당시 경찰을 설득해 국회 경내로 진입한 상황, 체포에 대비해 비상계엄 반대 인터뷰를 미리 녹음한 사실 등도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오는 26일 출간 예정인 이 책은 19일 오전 9시 30분께 예약 판매를 시작했다. 예약 판매 약 6시간 만에 1만부 이상 판매되는 등 온라인 출판 업체에서 종합 판매 순위 1위를 기록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