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영국 캐피털이코노믹스(CE)는 지난 19일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1%에서 1.0%로 하향 조정했다.
CE는 "정치적 위기와 부동산 섹터의 침체로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1.0%에 그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시장 전망치를 크게 밑도는 수치"라고 밝혔다.
CE가 제시한 1.0%는 주요 해외 기관이 제시한 경제 성장률 가운데 가장 낮은 수치다. 최저인 JP모건의 1.2%보다도 0.2%포인트 더 낮다. 글로벌 주요 투자은행(IB)들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 평균은 1.6% 수준이다.
한은이 경기 부양을 위해 불가피하게 현재 연 3.00% 수준인 금리를 2.00%로 대폭 낮출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한 번에 0.25%포인트씩 네 차례 인하가 된다.
글로벌 IB들은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올해 상반기 기준금리를 두 차례 내려 연 3.00%에서 연 2.50%로 인하할 것이라 내다보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 바클리, 시티, 골드만삭스, HSBC, JP모건, ING, 노무라 등 8곳의 IB가 한은이 올해 상반기 기준금리를 2.50%까지 내릴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은행이 오는 25일 수정 경제전망을 발표하는 데 앞서 나온 수치라 주목된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18일 국회에서 "정치적 불확실성 외에 미국의 경제정책이라든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 총재는 지난달 금통위 당시 1.6~1.7%의 연간 성장률을 가정한 데 대해선 "다시 보고 있다"며 말을 아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