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전 제약에 막힌 동해안 발전소…해법 찾아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삼척=이동원 기자
입력 2025-02-24 17:5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송전선로 용량 부족으로 일부 발전소 가동 멈춰

  • 정부 향한 균등 발전 등 대책 마련 목소리 커져

  • "송전망 건설 지연이 원인"… 500kV HVDC 건설 차질 우려

  • "송전선로 구축 의무 이행했는데 가동 못 해"… 역차별 논란

송전선로 사진이동원 기자
송전선로. [사진=이동원 기자]

강원 동해안 지역 발전소들이 송전 용량 부족 문제로 잇따라 가동을 멈추면서, 고사 위기에 직면했다.

현재 동해안 지역의 총 발전설비 용량은 18GW에 달하지만, 기존 송전선로의 송전 가능 용량은 11GW에 불과해, 경제급전 원칙에 따라 원자력발전소가 우선 배정되면서 석탄화력발전소는 사실상 정상 가동이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로 삼척, 동해, 강릉 지역 발전소는 발전기 1기만을 최소 출력으로 가동하고 있으며, 2~3곳의 발전소가 가동하면 1~2곳의 발전소는 돌아가며 가동을 멈추는 실정이다. 이중 삼척블루파워는 올해 들어 가동일이 단 7일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발전업계는 이 같은 불안정한 운영이 지속될 경우, 경영난을 피할 수 없고, 지역 경제와 전력 안정성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한다.
 
"송전망 건설 지연이 원인"… 500kV HVDC 건설 차질 우려

이번 문제의 주요 원인은 한전의 송전선로 건설 지연에 있다. 한전이 주관하는 500kV HVDC 송전선로 1단계(울진~신 가평) 건설사업은 동해안과 수도권을 연결하기 위해 당초 2019년 준공을 목표로 계획되었으나, 최근 2026년 9월로 준공 목표를 수정 발표했다. 하지만 그간 여러 차례 일정이 연기된 점을 고려하면, 추가 지연 가능성도 있는 상황이다. 해당 공사는 11개 공구로 나누어 진행 중이며, 400여 개의 송전탑을 설치해야 한다. 한전이 계획된 건설 일정을 준수하기 위해서는 철탑 등 자재 공급, 헬기 투입, 공사 인력 확보 등 철저한 준비가 요구된다.
발전업계 관계자는 "송전선로 건설이 지연될 경우, 동해안 발전소들의 가동 중단이 장기화할 수 있다"며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송전선로 구축 의무 이행했는데 가동 못 해"… 역차별 논란

특히 송전선로 구축 의무를 이행한 발전소가 오히려 더 가동이 제한되는 역차별적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삼척블루파워는 국가 정책에 따라 송전선로 30km 건설 의무를 성실히 이행했다. 그러나 현재 이 송전선로가 원전에서 사용하는 765kV 송전선로와 연결되면서, 경제급전 원칙과 민감도에서 밀려 발전소를 가동하지 못하는 결과가 발생했다.
발전업계 관계자는 "국가 정책을 준수하며 인프라 확충에 기여한 발전사가 오히려 발전기 가동을 못 하는 것은 불합리한 결과"며 "이에 대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