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합뉴스]
국내 부동산 관련 대출 잔액이 지난해 말 약 2682조원까지 불어난 가운데 절반은 가계대출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금융이 과도하게 확대되면 경기 부진 시 금융 불안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크다고 한국은행은 경고했다.
한은이 27일 발표한 금융안정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부동산금융 익스포저(위험노출액) 중 부동산 관련 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2681조6000억원으로 추산됐다. 전년 말보다 122조1000억원(4.8%) 늘었으며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율은 105.2%로 집계됐다.
부동산금융 익스포저는 국내 부동산 부문 충격이 금융기관과 금융투자자 등 경제주체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손실 규모를 뜻한다. 부동산 관련 대출과 부동산 관련 보증(1064조1000억원), 금융시장을 통한 부동산 관련 금융투자상품(375조9000억원)으로 구성된다.
한은이 27일 발표한 금융안정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부동산금융 익스포저(위험노출액) 중 부동산 관련 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2681조6000억원으로 추산됐다. 전년 말보다 122조1000억원(4.8%) 늘었으며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율은 105.2%로 집계됐다.
부동산금융 익스포저는 국내 부동산 부문 충격이 금융기관과 금융투자자 등 경제주체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손실 규모를 뜻한다. 부동산 관련 대출과 부동산 관련 보증(1064조1000억원), 금융시장을 통한 부동산 관련 금융투자상품(375조9000억원)으로 구성된다.

[표=한국은행]
지난해 말 기준 가계 부동산 대출 잔액은 1년 새 3.6% 늘어난 1309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부동산 관련 대출에서 가계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48.8%에 달한다.
한은은 "상업용 부동산 등 비주택 담보대출이 상가 공실률 상승 등 시장 여건 악화로 감소세를 지속했으나 주택담보대출이 증가세를 나타냈다
고 설명했다.
특히 가계 부동산 대출 중 정책금융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20년 말 17.0%에서 지난해 말 23.7%까지 꾸준히 상승했다. 일반기업 부동산 담보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 694조2천억원으로 집계됐다. 비주담대를 중심으로 큰 폭으로 늘면서 1년 전보다 11.3% 증가했다.
부동산·건설업종 기업 대출은 1.8% 늘어난 623조3000억원으로 추산됐다. 2023년 4.4% 늘었던 것과 비교하면 증가율이 축소됐는데 건설업의 경우 금융기관들의 위험 관리 강화 영향으로 잔액이 줄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잔액 187조3000억원)의 경우 구조조정 등 영향으로 전년 대비 11.8% 감소했다.
한은은 "우리나라의 부동산 금융 익스포저 증가세가 둔화하는 추세지만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 부동산 대출이 꾸준히 증가하는 등 일부 부문에서는 잠재 리스크 누적이 여전히 진행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금융 여건 완화가 부동산 등 위험자산 선호를 자극하고 자산매입을 위한 대출을 유발할 수 있는 만큼 부동산 부문으로의 금융 쏠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부동산금융이 과도하게 확대되면 경기 부진 시 금융 불안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커지고 생산성이 낮은 부문으로 자금이 집중되면서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은은 "상업용 부동산 등 비주택 담보대출이 상가 공실률 상승 등 시장 여건 악화로 감소세를 지속했으나 주택담보대출이 증가세를 나타냈다
고 설명했다.
특히 가계 부동산 대출 중 정책금융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20년 말 17.0%에서 지난해 말 23.7%까지 꾸준히 상승했다. 일반기업 부동산 담보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 694조2천억원으로 집계됐다. 비주담대를 중심으로 큰 폭으로 늘면서 1년 전보다 11.3% 증가했다.
부동산·건설업종 기업 대출은 1.8% 늘어난 623조3000억원으로 추산됐다. 2023년 4.4% 늘었던 것과 비교하면 증가율이 축소됐는데 건설업의 경우 금융기관들의 위험 관리 강화 영향으로 잔액이 줄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잔액 187조3000억원)의 경우 구조조정 등 영향으로 전년 대비 11.8% 감소했다.
한은은 "우리나라의 부동산 금융 익스포저 증가세가 둔화하는 추세지만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 부동산 대출이 꾸준히 증가하는 등 일부 부문에서는 잠재 리스크 누적이 여전히 진행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금융 여건 완화가 부동산 등 위험자산 선호를 자극하고 자산매입을 위한 대출을 유발할 수 있는 만큼 부동산 부문으로의 금융 쏠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부동산금융이 과도하게 확대되면 경기 부진 시 금융 불안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커지고 생산성이 낮은 부문으로 자금이 집중되면서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