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벨리온은 이번 법인 설립으로 현지 기업과 소통을 강화하고, 긴밀한 기술 지원을 제공하며 신규 고객 발굴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일본 사업은 베인앤드컴퍼니를 거쳐 무신사의 초기 일본 사업을 담당했던 동경대 출신 김혜진 전략 리드가 이끌며, 이와 함께 일본 내 사업을 함께 이끌 전문성을 갖춘 법인장 선임도 추진 중이다. 기술 전담 인력 역시 함께 채용해 현지 사업의 추진력을 높이고 고객 대응 역량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리벨리온은 일본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사업자(CSP), 통신사 등과 진행 중인 인공지능(AI) 반도체 도입 PoC(개념검증) 등 사업협력에도 속도를 내고 일본 내 입지를 확대해나간다는 방침이다.
리벨리온은 일본 AI 데이터센터 산업의 규모가 가파르게 성장함에 따라 AI 반도체에 대한 수요 역시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 최근 오픈AI,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일본 AI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일본 정부도 AI 슈퍼컴퓨팅 관련 보조금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 시장의 전략적 중요성이 커지는 만큼 검증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일본 시장을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는 "일본 AI 데이터센터 시장은 빠르게 커지고 있지만 일본 내에서 AI 반도체를 직접 개발하고, 이를 실제 데이터센터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PoC를 수행할 수 있는 기업은 손에 꼽힌다"며 "리벨리온은 이미 현지 기업들과 사업협력을 진행하며 기술 협력을 상당 부분 진척시킨 만큼 법인 설립으로 현지 시장에 깊숙이 들어가 본격적으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일본을 시작으로 사우디아라비아 법인 설립도 연내 완료하며 글로벌 AI 인프라 시장에서 리벨리온의 존재감을 확실히 보여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