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거래소가 'WFE 클리어 2025(The WFE’s Clearing and Derivatives Conference 2025)' 콘퍼런스를 성공적으로 개회했다.
거래소는 'WFE 클리어 2025'를 1일부터 3일까지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앰배서더 호텔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총 60개국 170여명의 거래소, 중앙청산소(CCP), 규제당국, 금융기관, 학계·업계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1일 열린 개회식에서는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 이윤수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 난디니 수쿠마르 세계거래소연맹(WFE) CEO의 개회사가 있었다.
정은보 이사장은 한국거래소의 청산·결제 안정성 강화 노력을 소개했다. 글로벌 금융·기술 환경 변화에 발맞춰 CCP도 적극적으로 신기술을 도입하고, 규제당국·정부기관과 긴밀히 협력하며, 글로벌 공조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윤수 상임위원은 CCP가 금융시장의 안정성 유지, 시스템 리스크 완화, 시장 참가자들의 신뢰 강화 등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언급했다. 향후에도 WFE 회원 간 지속적인 협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난디니 수쿠마르 CEO는 청산·결제 인프라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이번 행사의 중요성과 WFE의 연구 확대, 혁신 장려 등 지속적인 노력을 강조했다.
오는 3일까지 열리는 본행사는 기조 연설, 역량 강화, 패널 토론, 학술논문 발표 등 4가지 세션으로 구성했다. 글로벌 청산·파생 분야에 대한 포괄적인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기조 연설에서는 글로벌 금융환경 변화에 따른 CCP의 역할, 장외 파생상품 중앙청산 의무화 도입(15년차)에 대한 평가 등 거시적인 관점에서 청산·파생 분야를 전반적으로 조망했다.
역량 강화 세션에서는 CCP를 핵심 주제로 선정해 CCP의 기능·운영, CCP 설립의 최적 시점, CCP 중심의 자본시장 규제 프레임워크, CCP 리스크 관리의 방법론 등 CCP 영역을 심층 분석했다.
이어 패널 토론에서는 24시간 7일 거래 시대의 청산, 분산원장기술(DLT) 도입, 인공지능(AI) 활용, 그룹 수준의 CCP 리스크 관리 등 청산·파생 분야의 도전과제를 제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