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4일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조치,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 선고 등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에 대응해 상황별 시장안정조치를 즉시 가동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할 것"을 당부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긴급 간부회의를 열고 "국정에 공백이 발생하는 일이 없도록 당초 계획대로 정책 과제들을 차질없이 추진해야 한다"고 이같이 밝혔다.
앞서 이날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임직원에게 "비상대응체계 하에 필요시 가용한 시장안정 조치를 시행할 수 있도록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다만 해당 회의에서는 이날 선고된 윤석열 대통령 탄핵과 관련한 발언은 나오지 않았다.
이 원장은 "미국 관세 충격으로 주요국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가 국내에 미치는 영향을 예의주시해야 한다"며 "향후 국가별 보복관세 등에 따른 무역전쟁 우려, 교역감소에 따른 글로벌 경기침체 가능성, 미국 중심 경제·금융시스템에 대한 반발 등으로 대외 환경은 예단하기 어려운 위중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에 이 원장은 전 임직원에게 비상대응체계 안에서 경계심을 가지고, 필요시 시장안정 조치를 시행할 수 있도록 대비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면서 "대내외 불확실성을 감안할 때 국내 시장의 변동성이 언제든 확대될 수 있는 만큼 외환·주식·채권·금융시장 동향을 면밀히 살피겠다"며 "관세충격이 큰 기업들의 장·단기 자금조달 상황 밀착 점검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고율 관세 충격에 노출된 주요 산업의 국내외 공급망의 생산·수출 영향도 정밀 분석할 방침이다. 이 원장은 "기업들의 관세대응, 사업재편 필요자금이 원활히 공급되도록 다양한 지원방안을 검토하겠다"며 "관계기관과 공조를 강화하고, 특히 지방의 중소 협력업체 애로사항에 대해서 세밀히 점검하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