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가 올해 통신서비스 품질평가에서 실내시설과 고속철도 구간의 품질 점검을 대폭 강화한다. 특히 5G 서비스에 대한 평가 물량을 전년 대비 50% 늘린 600곳으로 확대, 이 중 절반을 실내시설로 지정해 체감 품질 개선을 유도할 방침이다.
과기정통부는 7일 ‘2025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실사용 환경을 반영한 평가체계를 통해 통신 품질을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통신서비스 품질평가는 5G, LTE, 유선인터넷 등 주요 서비스의 접속 가능 비율과 전송속도 등을 측정해 이용자에게 객관적인 품질 정보를 제공하고, 통신사의 품질 개선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매년 시행된다.
올해는 특히 실내 통신품질 향상과 음영 해소를 위해 평가 대상 시설 600곳 중 절반인 300곳을 실내로 지정하고, 실내 5G 무선국이 없는 시설을 중점적으로 점검한다. 이를 통해 통신사의 시설 투자와 품질 개선을 유도할 계획이다.
KTX, SRT 등 연간 1억 명 이상이 이용하는 고속철도 구간도 정밀 점검에 나선다.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지적된 품질 미흡·미개선 구간을 중심으로 현장 점검을 실시해, 통신사에 신속한 개선을 요구할 방침이다.
기존에는 분리해서 평가하던 5G와 LTE 서비스를 올해부터는 동시에 측정한다. 이는 실제로 5G 단말이 LTE 망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은 실사용 환경을 반영한 조치다.
이용자 체감 품질을 반영한 평가도 강화된다. 이용자 평가에서 낮은 점수를 받은 지역을 망 품질평가 대상에 포함시켜, 통신사의 체감 품질 개선을 유도할 계획이다.
망 품질평가는 전문 측정요원이 외부 요인을 최소화한 조건에서 통신망 성능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방식이며, 이용자 평가는 무선은 앱, 유선은 웹사이트를 통해 직접 측정할 수 있다. 올해는 이용자 평가 결과를 통신사에 공유하는 것에 더해, 망 품질평가 대상 지역 선정에도 반영할 방침이다.
이 밖에도 과기정통부는 동영상 서비스 가용률 등 콘텐츠 기반 전송속도 기준을 마련해 이용자 중심의 평가 기준을 적용한다.
올해 통신서비스 품질평가의 중간 발표는 8월, 종합 결과는 12월에 공개될 예정이며, 평가 신뢰성 강화를 위해 소비자단체 등이 평가에 참관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도규 과기정통부 통신정책관은 “통신서비스 품질평가는 이용자의 서비스 선택을 돕고 통신사의 품질 개선을 유도하는 중요한 제도”라며 “국민의 실생활에서 불편함이 없도록 5G 등 통신 품질 개선에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