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과 중국이 관세와 보복관세를 주고받으며 한치의 양보도 없는 ‘강대강 대치’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당국이 미국 여행을 자제할 것을 권고하는 등 양국 간 민간 교류도 위축될 조짐이다.
중국 문화·여유부는 9일 저녁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자국 관광객들에게 “미중 경제·무역 관계 악화와 미국 내 안보 상황에 따라 미국 여행의 위험성을 충분히 평가하고 신중하게 방문할 것을 권고한다”고 했다.
반면 미국은 지난해 11월 중국과 수감자 맞교환 직후 중국 여행 경보를 3단계(자제)에서 2단계(강력한 주의)로 낮춘 상태다.
중국 매체들은 미중 관세전쟁 격화로 미국행 중국인 관광객이 줄어들어 미국 관광 시장이 둔화할 것이라고 압박하고 나섰다. 중국 경제 매체 재일재경은 “관광업계 관계자들은 앞으로 미국을 방문하는 중국인 관광객이 뚜렷하게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한다”면서 “이는 미국 관광 및 호텔 산업 성장을 저해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미국 세관 당국 자료를 인용해 지난 3월 중하순에 미국 주요 공항을 통해 입국한 해외 관광객이 전년 동기 대비 무려 20% 가까이 급감했다고 강조했다.
중국 관영 중국중앙TV(CCTV)는 지난해부터 중국과 미국을 오가는 직항편이 늘어났고, 양국 기업과 지방정부 등 여러 분야와 각계각층의 협력으로 민간 왕래가 늘어 문화·관광 교류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고 했다. 그러면서 “미국행 여행 시장이 빠르게 회복되고 있었다”고 짚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국 관세가 양국 민간 교류 활성화에 찬물을 끼얹었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보인다.
같은 날 중국 교육부는 올해 1호 ‘유학경보’를 발령하고 유학생들에게 “미국 오하이오주에 대한 안전 위험 평가를 철저히 하고, 예방 의식을 강화할 것을 권고한다”고 했다. 이어 최근 오하이오주가 통과시킨 고등교육법안에 중국과 관련한 부정적인 내용이 포함돼 미중 대학 간의 교육 교류 협력을 제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중국 당국은 이날 예고대로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84% 추가 관세 부과에 들어갔다. 앞서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해 34% 상호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자 동률의 보복 관세로 대응했고,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 관세를 50% 더 높이자 중국도 관세율을 84%로 상향하며 맞불을 놓았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국가별 상호관세 발표 13시간여 만에 각국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한 반면 중국에 대한 관세는 125%로 재차 올렸다. 인민일보는 이후 사설을 통해 “미국의 경제적 괴롭힘 행위에 대해 강력한 대응 조치를 계속 취할 것”이라고 추가 보복을 시사했다.
![유나이티드 항공 보잉 767 여객기가 뉴어크 리버티 국제공항에 접근하고 있다. [사진=AFP연합뉴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4/10/20250410150339105511.jpg)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