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포스텍, 청년 창업 거점 조성 업무 협약 체결

  • 도시재생과 청년 창업 잇는 '윈윈 모델' 가동

  • 이강덕 시장 "지역 문제를 지역의 자산으로 재활용하는 선순환모델 이끌 것"

포항시는 11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포스텍과 함께 빈 건축물을 활용한 청년 창업 거점 조성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 사진포항시
포항시는 11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포스텍과 함께 빈 건축물을 활용한 청년 창업 거점 조성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 [사진=포항시]
경북 포항시가 지역 대학과 손잡고 버려진 공간을 새로운 기회의 플랫폼으로 바꾸는 도심 재생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
 
포항시는 11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포스텍과 함께 빈 건축물을 활용한 청년 창업 거점 조성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늘어나는 빈집과 방치 건축물 문제에 대응하고, 청년 창업을 촉진하는 동시에 원도심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융합형 도시재생 프로젝트다.
 
포항시는 무상 임차한 빈집 및 건축물을 리모델링해 청년을 위한 공유 오피스와 업무·주거 복합형 레지던스 공간으로 재탄생 시킬 계획이다.
 
이 공간은 단순한 창업 공간을 넘어 창업·일자리·공동체 활동의 거점으로 활용될 예정이며, 양 기관은 이번 협약으로 도시재생 및 창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보 공유와 협력 체계를 구축해 나가기로 했다.
 
협약에 따라 포항시는 빈 건축물 리모델링 등 공간 조성, 행정·재정적 지원을 맡고, 포스텍은 창업 지원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연구 및 기술 사업화 지원 등을 담당한다.
 
이번 협약으로 방치된 빈 건축물이 청년 창업 공간으로 재탄생하면 청년들의 창업 초기 부담을 줄이고, 원도심 유입 인구 증가와 지역 상권 회복 등 도시재생의 실질적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이번 협약은 지역의 문제를 지역의 자산으로 재활용하는 첫 시도”라며 “빈 건축물 재생과 청년 창업을 동시에 이끌어 낼 수 있는 선순환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포항시는 이번 사업 외에도 빈집 철거 비용을 지원하는 정비 사업과 빈 건축물 무상 임대로 창업 공간을 제공하는 ‘상생 임대인-희망 임차인 사업’ 등 빈 공간 정비와 청년·사회적기업 지원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