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 해운물류업계의 경영 리스크가 커지는 만큼 미국 무역정책과 해상물류 영향 등을 지속 모니터링하고 유관기관, 해운업계와 긴밀히 공조해 대응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15일 아주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올해 트럼프 정부의 통상 조치를 비롯한 무역환경 변화에 대응하면서 수산식품 수출산업의 성장세를 지속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해수부는 지난 2월 '2025년 수산식품 수출전략'을 통해 올해 수산 식품 수출액을 역대 최대치인 31억5000만 달러로 설정하고 1000만 달러 수출기업 70개를 육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해수부는 김과 참치 등 수출 효자 품목을 중심으로 기반을 다지고 굴, 전복 등 차세대 유망 품목을 육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아울러 보편관세·환율 변동 등에 따른 기업 유동성 약화에 대응하기 위해 1500억원 규모의 정책자금을 지원하고 국내외 콜드체인 등 물류지원과 환차손, 미수금 등에 대한 수출보험 지원도 확대 추진할 계획이다.
또 해양환경, 식품안전, 불법어업 등과 관련한 비관세장벽 대응을 위해 비관세장벽 대응센터를 확대 운영하고 비관세장벽 플랫폼도 신규 개설할 예정이다. 지난해 5월부터 현재까지 비관세장벽 대응센터에서 130건의 상담을 수행해 업계의 큰 호응을 얻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글로벌 공급망 위기 속에서 안정적 수출 물류 인프라 지원을 위한 로드맵을 구상 중이다.
해수부는 물류 기업들과 함께 'K-물류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향후 정례적으로 TF를 개최해 물류시장 동향, 현지 부동산 정보 등 주요 투자 정보를 공유하고 기업·공공기관 간 자금 매칭 및 합작투자를 연계하는 등 정보 제공부터 현지 투자지원까지 원스톱 솔루션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 국제물류 강화를 위해 해운산업 위기대응펀드를 기존 1조원에서 2조원로 확대하는 등 경영 안전판을 강화하고 국적선사의 경영 리스크 대응뿐만 아니라 글로벌 경쟁력 강화도 지원한다.
강 장관은 "미국 신정부 출범으로 인한 물류 공급망 재편과 통상환경 변화에 차질 없이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물류, 해운시장 상황을 긴밀히 모니터링해 수출입 물류를 지원하고 국적선사 경영 안전판을 확충하는 등 환경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