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굉화문뷰] '부끄러움'에 대하여

윤석열 전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에서 파면 결정을 받은 뒤에도 보이는 모습을 보면 '염치(廉恥)'라는 단어가 저절로 떠오른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이 설명하는 염치는 '체면을 차릴 줄 알며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이다. 방점은 '부끄러움'에 찍힌다. 정말 윤 전 대통령이 생각하는 것처럼 거대 야당 다수의 횡포를 국민에게 경고하기 위해서였든, 선거 관리에 의혹이 있었든, 어떤 이유에서 출발했든 '비상계엄'의 충격으로 온 나라를 혼란에 빠뜨렸으면 최소한의 '부끄러움'과 책임을 통감하는 모습이라도 보여야 했다.

하지만 관저를 떠나 서울 서초동 아크로비스타 사저로 돌아온 윤 전 대통령에게는 전혀 그런 염치를 찾아볼 수 없었다. 이 모습에서 많은 국민들은 허탈감과 좌절감을 넘어 분노까지 느꼈다고 한다. 사저에서 만난 주민들에게 "다 이기고 돌아온 거니까 걱정하지 말라", "어차피 5년 하나 3년 하나…"라고 말하는 등 자신이 몰고 온 국가적 혼란에 대한 일말의 죄책감은 찾아볼 수 없었다. 2017년 3월 헌재로부터 파면 당한 박근혜 전 대통령이 조용하게 서울 삼성동 집으로 돌아간 것과도 대조되는 태도다.

윤 전 대통령의 '몰염치'한 태도는 지난 14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에서 진행된 '내란' 형사 재판에서도 그대로 유지됐다. 검찰이 공소장에서 제기한 모든 혐의를 부인하며 자신의 비상계엄이 '평화적 대국민 메시지 계엄'이라고 주장했다. "계엄과 쿠데타는 다르다"라는 것이다. 여기에 "26년간 정말 많은 사람을 구속하고 기소한 저로서도 검찰 공소장이 도대체 무슨 내용인지, 무엇을 주장하는지, 어떤 로직(논리)에 의해 내란죄가 된다는 것인지 도저히 알 수가 없다"며 탄핵 재판정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던 자신의 '계몽령' 논리를 계속 고수했다.

공자(孔子)는 이렇게 말했다. "부끄러움을 알고 모르는 차이는 양심의 유무에서 온다"고. <논어> '양화편(陽貨篇)'에 나오는 고사가 있다. 공자가 어느 날 길 옆에서 대변을 보는 사내를 보자 함께 있던 제자를 시켜 그 사내를 자신에게 데려오게 한 뒤 호되게 꾸짖었고, 그 사내는 부끄러워하며 도망쳤다. 얼마 후 공자는 이번엔 길 한가운데서 대변을 보는 또 다른 사내를 만났는데, 이때 공자는 전처럼 화를 내지 않고 그 사내를 피해서 가자고 말했다. 제자가 이상하게 여겨 이유를 묻자 공자는 "길 옆에서 대변을 본 사내는 그나마 양심은 있어 가르치면 되지만 저놈은 아예 양심 자체가 없는데 무엇을 어찌 가르칠 수 있겠느냐"라고 답했다. 지극히 어리석고 못난 사람은 공자도 교화를 포기했던 것이다.

맹자(孟子)는 더 나아가 "부끄러움을 모르면 사람이 아니다(無羞惡之心 非人也)"라고 부끄러움을 사람의 조건으로 못 박아버렸다. 그렇다면 못나고 어리석은 사람은 천성으로 타고나기 때문에 계속 부끄러움을 모르고 전혀 바뀌지 않는가. 우리는 주변에서 자신의 잘못과 부끄러움을 깨닫고 바뀌는 사람들을 수없이 볼 수 있다. 윤 전 대통령의 몰염치는 타고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오만함에서 나오는 것이다.

소설가 박완서는 1974년에 발표한 단편 <부끄러움을 가르칩니다> 마지막 부분에 이렇게 썼다. "나는 각종 학원의 아크릴 간판의 밀림 사이에 '부끄러움을 가르칩니다', '부끄러움을 가르칩니다'라는 깃발을 펄러덩 펄러덩 훨훨 휘날리고 싶다." 부끄러움을 가르치는 학원이 존재한다면 윤 전 대통령은 필히 등록했으면 한다. 부끄러움을 배우는 것부터 다시 시작해야 지금보다 조금이라도 국민의 울화를 덜어줄 수 있을 것이다.
 
조현정 정치사회부 차장
조현정 정치사회부 차장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2
0 / 300
  • 동아시아(중국,한국,베트남,몽고)에 성립된 세계종교 유교국으로 수천년 이어진 나라임. 불교는 고구려 소수림왕때 외래종교 형태로 단순 포교되어, 줄곧 정규교육기관도 없이, 주변부 일부 신앙으로 이어지며 유교 밑에서 도교.불교가 혼합되어 이어짐. 단군신화는 고려 후기 중 일연이 국가에서 편찬한 정사인 삼국사기(유교사관)를 모방하여, 개인적으로 불교설화 형식으로 창작한 야사라는게 정설입니다.
    https://blog.naver.com/macmaca/222092679769
  • 저 일화는 정사가 아니고, 야사임.한국은 기자조선이후, 위만조선을 거쳐, 한사군 설치로, 세계종교 유교국가로 수천년 이어져 온 나라입니다. 유교를 중심으로, 도교나 불교도 부분적 수용. 동양은 제자백가가 경합하다가 유교가 세계종교, 서양은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기독교)이 공존하다가, 로마가톨릭이 세계종교됨. 인도는 브라만에 항거해 일어난 부처의 불교가 주변국에 단순포교를 해, 한때 고대세계 세계종교였지만, 발원지 인도에서 천 몇백년동안 선발신앙인 브라만의 힌두교에 억눌려 탄압받으며 현재에 이름.한국은 세계사의 정설로,한나라때,동아시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