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아웃 기업도 자산·채권 동결 가능...회생 전 채권자와 자율 협상 길 열려

서울회생법원 사진연합뉴스
서울회생법원 [사진=연합뉴스]
다음 달부터 자금난에 처한 기업들이 채권단과 자율협약(워크아웃)을 통해 자산과 채권을 동결할 수 있는 제도가 도입된다.

16일 서울회생법원(법원장 정준영)은 재정적 어려움에 처한 기업이 회생 신청 전에 채권자들과 자율적 협상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pre-ARS(자율구조조정지원)' 제도를 오는 5월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 제도는 기업이 회생 신청 전에 채권자들과 자율적으로 협상할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 회생 신청에 따른 법적 문제와 부정적인 인식(낙인 효과)을 피하면서 기업과 채권자들이 자체적으로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회생법원은 "현재 ARS 제도가 실무에서 활용되고 있지만, 회생 신청을 전제로 운영되어 법적 효과와 낙인 효과를 피할 수 없다"며 "회생 신청을 전제로 하지 않더라도 이해관계자들과 자율적 협상을 진행할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도입 배경을 설명했다.

신청서가 접수되면 사건은 조정재판부에 배당되며 조정 절차는 비공개로 진행된다.

또한, 회생법원은 기업들이 워크아웃(공동관리절차)과 회생절차를 결합해 진행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구조조정 제도'도 다음 달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워크아웃과 회생신청 중 어떤 제도를 선택할지 고민할 필요 없이 두 가지 절차의 장점을 동시에 누릴 수 있게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