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는 시민들이 걸어서 30분 이내에 다양한 일상을 누릴 수 있는 ‘서울형 보행일상권’ 조성 시범사업에 착수한다고 22일 밝혔다.
보행일상권은 2022년 3월 서울시가 발표한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 처음 제시됐다. 멀리 이동하지 않고도 주거지 인근에서 생활편의와 여가, 돌봄, 학습, 공공서비스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자족적 생활권을 뜻한다.
시범사업은 보행일상권 실현에 초점을 맞춘다. 역세권 등 주요 거점을 중심으로 한 보행일상권 조성 계획, 보행일상권 내 필수시설 확충 계획, 접근성 향상을 위한 생활가로 네트워크 구축 방안 등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9월까지 ‘보행일상권 조성계획 기준’을 마련하고 향후 서울 전역으로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앞서 시는 지난 9일 지역적 특성과 권역별 균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8개 시범 대상지를 선정했다. 대상지는 △평창·부암(종로구) △금호·옥수(성동구) △청량리(동대문구) △신길(영등포구) △정릉(성북구) △수유(강북구) △홍제(서대문구) △양재(서초구) 등이다.
시는 대상지별 보행일상권 필수시설 현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시설 확충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아울러 보행일상권 모델 적립 후에는 이를 도시관리계획과 정비사업, 소규모 정비사업, 도시재생사업, 역세권사업 등 개발사업 계획 수립 과정에서 근거로 활용할 계획이다.
조남준 도시공간본부장은 “이번 시범사업은 서울형 보행일상권을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첫 단계”라며 “앞으로 서울 전역에 100개 이상 작지만 강한 자족형 생활권을 순차적으로 조성해 시민 일상에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가겠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