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미국 증시가 약세를 보이는 가운데, 대표 가상자산 비트코인 가격이 한 달 반 만에 다시 9만 달러 선을 회복했다.
22일(현지시간) 미국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미 동부시간 낮 12시 9분(서부 오전 9시 9분) 기준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2.72% 오른 9만711달러에 거래됐다. 비트코인이 9만 달러 선을 넘어선 것은 지난 3월 6일 이후 46일 만이며, 장중 한때 9만1500달러대까지 상승하기도 했다.
비트코인은 최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대규모 관세 부과 예고로 미 증시가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이는 와중에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달 7일에는 관세 전쟁에 따른 투자 심리 위축으로 7만4000달러대까지 하락했으나 이후 반등에 성공, 20% 넘게 상승했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이 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을 향해 금리 인하 압박을 강화하면서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지자, 비트코인은 이틀간 6% 이상 오르며 주목받았다. 이에 따라 비트코인이 미국 기술주와 동조해 움직이던 기존 흐름에서 벗어나, 금과 유사한 안전자산처럼 반응하는 ‘디커플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블룸버그 통신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조치 발표 이후 위험 자산이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인 반면, 비트코인은 금과 유사한 흐름을 보이며 안전자산으로의 전환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전했다.
달러 약세 역시 비트코인 강세의 배경으로 꼽힌다. 최근 미 달러화 가치는 3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하며 약세를 보이고 있다.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자금 유입도 활발했다. 21일 하루 동안 미국 비트코인 ETF에 총 3억8100만 달러가 유입돼, 지난 1월 30일 이후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가상화폐 거래 플랫폼 시그널플러스의 오거스틴 판 파트너는 “비트코인이 미국 자산과 계속 탈동조화된다면, 장기적인 가치 저장 수단으로서의 역할이 다시 주목받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DACM 공동 창립자 리처드 갤빈도 “비트코인이 기술주보다 금과 유사한 방식으로 거래되는 흐름이 이어진다면, 디커플링 서사는 더욱 힘을 얻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같은 시간 시가총액 2위 가상자산 이더리움은 4.58% 상승한 1696달러를 기록했으며, 리플(XRP)은 1.73%, 솔라나는 4.06%, 도지코인은 6.88% 각각 상승했다.
22일(현지시간) 미국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미 동부시간 낮 12시 9분(서부 오전 9시 9분) 기준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2.72% 오른 9만711달러에 거래됐다. 비트코인이 9만 달러 선을 넘어선 것은 지난 3월 6일 이후 46일 만이며, 장중 한때 9만1500달러대까지 상승하기도 했다.
비트코인은 최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대규모 관세 부과 예고로 미 증시가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이는 와중에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달 7일에는 관세 전쟁에 따른 투자 심리 위축으로 7만4000달러대까지 하락했으나 이후 반등에 성공, 20% 넘게 상승했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이 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을 향해 금리 인하 압박을 강화하면서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지자, 비트코인은 이틀간 6% 이상 오르며 주목받았다. 이에 따라 비트코인이 미국 기술주와 동조해 움직이던 기존 흐름에서 벗어나, 금과 유사한 안전자산처럼 반응하는 ‘디커플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달러 약세 역시 비트코인 강세의 배경으로 꼽힌다. 최근 미 달러화 가치는 3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하며 약세를 보이고 있다.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자금 유입도 활발했다. 21일 하루 동안 미국 비트코인 ETF에 총 3억8100만 달러가 유입돼, 지난 1월 30일 이후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가상화폐 거래 플랫폼 시그널플러스의 오거스틴 판 파트너는 “비트코인이 미국 자산과 계속 탈동조화된다면, 장기적인 가치 저장 수단으로서의 역할이 다시 주목받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DACM 공동 창립자 리처드 갤빈도 “비트코인이 기술주보다 금과 유사한 방식으로 거래되는 흐름이 이어진다면, 디커플링 서사는 더욱 힘을 얻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같은 시간 시가총액 2위 가상자산 이더리움은 4.58% 상승한 1696달러를 기록했으며, 리플(XRP)은 1.73%, 솔라나는 4.06%, 도지코인은 6.88% 각각 상승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