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문화회관내 ‘세종라운지’가 개장 이후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고 있다. 세종문화회관은 '세종라운지'를 시민을 위한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시켰다. 세종라운지는 개장 2년 차인 2024년 공연 및 전시 관람객 수가 전년 대비 23% 증가한 83만5797명을 기록했으며, 입장권 판매액은 33억 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다.
세종라운지는 2023년 기존에 일부 시민만 이용 가능했던 연회 공간 ‘세종홀’을 전면 개방하며 탄생했다. 책과 커피가 있는 라운지 공간, 공연·전시 티켓을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플라자, 큐레이션 서가 등 각종 편의시설을 갖췄다. 이 공간은 광화문역과 세종문화회관 공연장 및 미술관을 통합 동선으로 연결하며 시민은 물론 외국인 관광객들의 방문도 꾸준히 늘고 있다.
세종문화회관 방문객은 2023년과 비교하면 2024년 45.3%, 입장권 매출은 37.3% 증가했다. 이러한 성과는 단순한 공간 개방을 넘어, 일상 속 예술 향유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확대해온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세종라운지’는 시민 참여형 문화 프로그램의 거점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2023년부터 서울시합창단의 ‘런치타임 콘서트’가 매월 금요일마다 열렸으며, 연말에는 '이재훈의 해설이 있는 국악 실내악 콘서트', '김주영의 클래식 콘서트' 등 품격 있는 '수요 라운지 음악회'가 큰 호응 속에 개최됐다. 오는 7월에는 수요 음악회가 이어진다.
또한 세종라운지 내 서가는 예술과 독서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복합문화형 공간으로, 공연 예술과 서울의 역사·문화 관련 도서들이 엄선돼 있으며 관람 전후로 여유롭게 독서를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됐다.
서울의 도시 브랜드를 체험할 수 있는 '서울마이소울(Seoul My Soul)' 브랜드 샵도 라운지 내에 자리잡고 있다. 이곳에서는 의류, 문구, 생활소품 등 서울의 정체성을 담은 다양한 상품을 선보이며, 특히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안호상 세종문화회관 사장은 “세종라운지는 단순한 편의공간을 넘어, 광화문을 찾는 시민과 관객의 일상을 자연스럽게 예술로 녹여내는 문화거점으로 자리 잡았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문화체험을 통해 예술과 삶이 이어지는 공간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