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대중 관세 인하 검토 "품목별로 절반 수준 조정 가능성"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UPI뉴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UPI뉴스·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월 취임 이후 145%까지 인상한 대중(對中) 관세를 품목에 따라 절반 이상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23일(현지시간) 전해졌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복수의 백악관 관계자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품목에 따라 관세율을 50~65% 수준으로 낮추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현재 백악관 내부에서 중국과의 협상을 염두에 두고 검토 중인 여러 시나리오 중 하나이며, 아직 트럼프 대통령이 최종 결정을 내린 것은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

보도에 따르면, 이 논의는 지난해 미 하원 미중전략경쟁특별위원회에서 제안한 관세 체계를 일부 반영한 것이다. 당시 위원회는 전략적 이익에 관련된 품목에는 최소 100%, 국가안보와 무관한 일반 품목에는 35%의 관세 부과를 제안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쿠시 데사이 백악관 부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합의 필요성을 분명히 했다”며 “관세 관련 결정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이며, 그 외의 논의는 추측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관세가 145%까지 오른 적이 있었지만 그렇게 높게 유지되지는 않을 것”이라며 “상당히 내려갈 수는 있겠지만 과거처럼 0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국과는 오랫동안 좋은 관계를 유지해왔고, 협상이 원만히 진행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도 비공개 투자자 행사에서 “관세로 인한 미·중 간 교착 상태는 지속 가능하지 않으며, 상황은 완화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했다.

한편,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중국에 대한 일방적 관세 인하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관세 관련 논의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이후 뉴욕증시는 상승세를 보였다. 22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1%, S&P500지수는 1.7%, 나스닥 종합지수는 2.5% 각각 상승 마감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증시 상승에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해임 여부에 대해 “해임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으며, 이는 시장 내 불확실성을 일부 완화시킨 요인으로 작용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