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금융감독원이 29일 발표한 '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성인의 금융이해력 점수는 65.7점을 기록했다. 2년 전인 2022년(66.5점)에 비해 소폭 하락했으나 OECD 평균(2023년 기준, 62.7점)보다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금융이해력은 △금융 지식 △금융 행위 △금융 태도 3개 분야에 걸쳐 측정된다. 국내 조사는 지난해 9월 2일부터 11월 1일까지 만 18∼79세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금융이해력 3개 항목 가운데 금융 지식 점수(73.6)와 금융 행위 점수(64.7)는 2022년(75.5·65.8)보다 낮아졌으나, OECD 평균(66.9·61.6)보다는 높았다. 반면 미래 대비와 관련된 금융 태도 점수는 53.7점으로, 2022년(52.4)보다 높아졌으나, OECD 평균(58.0)보다는 낮았다. 응답자 특성별로 보면 20대와 70대, 저소득층, 저학력층의 금융이해력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한은 관계자는 "해당 점수가 물가 상승률이 높았던 2022년 큰 폭으로 상승했다가 이번 조사에서는 예년 수준으로 하락한 점을 고려하면 지난해 물가상승률 둔화에 따른 일반인의 인플레이션 관심도 하락이 이번 조사 결과에 반영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 행위 항목 가운데서는 평소 재무 상황 점검(43.4점), 장기 재무 목표 설정(42.5점) 점수가 낮았다. 특히 20대 청년층의 재무 점검(33.2점)과 재무 목표(36.1점) 점수는 2022년(55.8점·48.0점)보다 크게 내렸다.
장기 재무 목표가 있는 성인의 가장 중요한 재무 목표는 주택구입(25.8%)이었다. 자산 증식(19.9%), 결혼 자금(13.9%) 등이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 성인의 디지털 금융이해력 총점은 45.5점이다. 2022년 조사(42.9점) 대비 2.6점 올랐다.
한은 관계자는 "금융 지식 부문에서 인플레이션이 실질 구매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고, 금융 행위 부문에서는 재무관리 활동이 여전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관련 부분에 대한 맞춤형 교육의 필요성이 부각됐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