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노원구 상계주공5단지 재건축 사업시행자인 한국자산신탁은 지난달 28일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입찰을 마감했으나 참여 기업이 단 1곳도 없어 유찰됐다. 당초 수주에 관심을 보였던 HDC현대산업개발과 현대엔지니어링이 발을 뺀 데 이어 한화 건설부문도 입찰에 참여하지 않았다.
상계주공 5단지 시공사 선정이 난항을 겪는 데는 사업성이 낮다는 건설사들의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상계주공5단지는 전체 840가구가 전부 전용면적 31㎡인 소형평수로 구성돼 있다. 재건축을 통해 996가구로 재탄생하지만 이 중 임대주택이 152가구여서 일반 물량은 4가구에 불과하다. 사실상 1대1 재건축인 셈이어서 시공사로서는 일반분양으로 인한 수익을 기대할 수 없는 구조다.
앞서 상계주공 5단지는 2023년 1월 GS건설과 공사비 3342억원(3.3㎡당 650만원)에 시공사 계약을 맺었지만 조합 측이 높은 분담금과 불리한 계약조건을 이유로 계약을 해지했다. 당시 책정 분담금은 전용 84㎡ 기준 가구당 5억~6억원 수준으로 전망됐다.
이처럼 서울 외곽 지역 재건축은 소형 단지로 구성되거나 일반분양가가 서울 대다수 재건축 현장 대비 낮게 책정되는 등 사업성이 떨어지면서 건설사와 소유주 모두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도봉구 쌍문한양2·3·4차도 재건축 분담금이 조합원 가구당 3억5000만원에서 4억원까지 추산됐다. 현재 해당 아파트 전용면적 48~59㎡ 실거래가와 맞먹는 수준이다.
쌍문한양2·3·4차는 전체 1635가구 중 절반 가까이가 전용 35㎡ 이하인 작은 평형으로 구성되면서 사업성 확보가 어렵다는 평가가 나온다. 여기에 실제 착공 시 공사비가 더 올라 향후 분담금이 현재보다 더 커질 우려도 나온다.
권대중 서강대 일반대학원 부동산학과 교수는 "분담금 논란이 일고 있는 단지들은 시세와 아파트 단지 구조 등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법정 용적률 범위 내에서 용적률을 탄력적으로 적용해 수익성을 개선해 줄 필요가 있다"며 "서울 외곽 지역은 기반시설이 중심지에 비해 열악한 편이어서 용적률을 올리는 만큼 공공기여를 하도록 유도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