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배터리, 인터배터리 유럽서 혁신기술 뽐내

  • '인터배터리 유럽 2025' 독일서 개최

  • LG엔솔, 유럽 시장 공략 'ESS' 배터리 라인업 공개

  • 삼성SDI, 'AI 시대 정조준' 차세대 배터리 선봬

LG에너지솔루션 2025 인터배터리 유럽 부스 조감도 사진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 2025 인터배터리 유럽 부스 조감도 [사진=LG에너지솔루션]
국내 배터리 기업들이 오는 7일 개막하는 글로벌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 유럽 2025'에 참가해 일제히 혁신 기술을 선보이며 시장 내 존재감을 드러낸다. 참가 기업들은 인공지능(AI) 시대 각광받고 있는 차세대 배터리 제품부터 유럽 배터리 규정에 대응하는 배터리 패스포트 사업 등을 대거 소개할 예정이다.

6일 배터리업계에 따르면 인터배터리 유럽 2025는 7일부터 9일까지 3일 동안 독일 뮌헨 전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유럽은 중국에 이어 전 세계 2위 규모의 전기차 시장이며, 오는 2030년까지 ESS(에너지저장장치) 시장 또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지역이다. 

올해 인터배터리 유럽에는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에너테크인터내셔널, 에이치투 등 국내외 93개 배터리 기업이 참가해 전년보다 약 20% 확대된 규모로 행사가 진행된다.

먼저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전시에서 △차별화된 현지 생산 역량 △ESS 분야 기술 리더십 및 관련 제품 포트폴리오 △유럽 배터리 규제 대응 역량 등 차별화된 경쟁력을 선보일 예정이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 유럽산 LFP(리튬인산철)셀이 적용된 20ft 표준 컨테이너형 전력망용 ESS 신제품을 처음 공개한다. 이번 신제품은 3개의 모듈을 하나의 팩으로 결합한 스택형(Stackable) 구조로 랙을 구성할 때 발생하는 팩 간 간격을 최소화했다. 이를 통해 컨테이너의 한정된 공간에 최대한 많은 팩을 탑재할 수 있어 기존 제품 대비 뛰어난 에너지 밀도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유럽 시장을 겨냥한 주택용 ESS 제품 'JF1R'도 함께 선보인다. 이 제품은 유럽 현지 생산을 기반으로 빠른 납기와 안정적인 공급, EU 품질 기준에 부합하는 제품 경쟁력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이번 전시에서 유럽연합 배터리 규제에 선제 대응하는 전략으로 배터리 여권 시스템 파일럿 버전도 최초 공개한다. 배터리 여권은 배터리의 성능, 화학 성분, 탄소 발자국 등 생산부터 폐기까지의 생애주기에 걸친 주요 정보를 디지털화해 관리하는 제도다.

삼성SDI는 이번 행사에서 △SBB 1.5 △AI 데이터센터 △각형 테크 허브 △배터리 쇼룸 △넷 제로 게이트 등 5개의 전시 존을 구성하고 혁신적인 배터리 제품과 친환경 기술을 선보인다.

삼성SDI는 특히 AI 데이터센터 UPS(무정전 전원장치)용 배터리와 신재생 발전 등과 연계해 사용할 수 있는 컨테이너형 ESS를 실물 크기로 전시해 글로벌 관람객들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독자 개발한 UPS용 배터리 신제품 'U8A1' 외에도 올 초 '인터배터리 2025'에서 선보였던 'SBB 1.5'도 실물 크기의 LED 화면으로 전시한다. 이외에도 전시장 한편에 '배터리 쇼룸'을 마련하고 46파이 원통형, 전고체 배터리(ASB) 등 최근 글로벌 업계에서 관심을 끌고 있는 자체 제품과 기술 라인업을 선보인다.

한국배터리산업협회는 "유럽은 세계 전기차 산업의 중심지이자, 급성장하는 ESS 시장을 품은 전략적 지역"이라며 "이번 인터배터리 유럽 2025를 통해 한국과 유럽의 배터리 산업 간 전략적 협력과 기술 교류가 더욱 심화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