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각 후보들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한 ‘10대 정책공약’에 따르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대표적인 경제 공약으로 △경제강국 비전 달성을 위한 인공지능(AI) 등 신산업 육성 △아동수당 18세 상향 △양곡법 개정안 시행 등을 내세웠다.
특히 이 후보는 AI 분야에서 지원 예산 비중의 선진국 수준 증액과 민간투자 100조원 시대 개막, AI 데이터센터 건설, 고성능 GPU 5만개 이상 확보와 같은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이미 정부 총지출 대비 우리나라의 AI 지원 예산의 비중은 AI 최강국인 미국의 두 배에 이르는 수준이다. 미국의 2025회계연도(2024년 10월~2025년 9월) AI 예산은 200억 달러(약 29조원)로 전체 예산안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27% 수준이다. 우리나라의 AI 예산은 3조8000억원으로 절대량에서 미국 대비 7분의 1수준이지만 추가경정예산을 반영한 정부 총지출 대비로는 0.55%에 그친다.
여기에 쌀값 하락분을 정부 예산으로 보전하는 양곡법 개정안 시행 시 연간 3조원, 아동수당 지급 대상 18세로 확대 시 연간 4조8000억원의 재정이 필요할 전망이다.

디딤돌 소득은 중위소득 85% 이하를 대상으로 할 때 연간 36조원이, GTX는 한 개 노선당 4조~5조원에 달하는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두 후보의 경제공약 이행을 위해 연간 수조 원에서 수십조 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재원 조달 방안은 부실한 수준이다. 이 후보는 정부재정 지출구조 조정분과 2025~2030년 연간 총수입증가분(전망) 등으로 재원을 충당하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 역시 국비·지방비·기금 활용과 예산 편성 우선순위 조정과 비효율 지출 구조조정 등을 재원 방안으로 제시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도 청년(만 19~34세)들이 창업, 결혼, 생계, 주거 등 용도 제한 없이 대출을 이용할 수 있는 '든든출발자금'을 출시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청년들이 분기당 500만원, 최대 5000만원 한도 내에서 연 1.7% 고정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는 취지다.
그러면서 재원조달 방안으로는 연간 74조원 규모의 청년 정책 예산과 연 2조원 규모의 학자금대출 예산을 통합 편성해 재원을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요 후보들은 세금 감면을 공약으로 내걸면서도 경제성장 등을 통해 늘어날 세수를 기반으로 재원을 마련하겠다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고령화로 정부 의무 지출이 급증하고 경제성장률마저 0%대로 떨어지면서 세수 증가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2024~2028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르면 지난해 347조4000억원이었던 정부 의무지출은 연간 5.7%씩 증가해 2028년 433조1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정부 재정수입은 지난해 612조2000억원에서 2028년 731조5000억원으로 연평균 증가율이 4.6%에 불과하다.
시민단체 내가만드는복지국가 관계자는 "사회불평등, 기후위기 등 국가가 대응해야 할 시대적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재정이 필요함에도 재정 상황은 오히려 악화되고 있다"며 "이번 대선에서 모든 후보들이 증세 공약을 내걸고 세입 비전을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