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글로벌헬스케어포럼] 김영웅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 회장 "바이오헬스, 헬스케어의 뉴노멀 제시"

김영웅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 회장이 21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25 제15회 글로벌헬스케어포럼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20250521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김영웅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 회장이 21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25 제15회 글로벌헬스케어포럼'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김영웅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 회장은 21일 "바이오헬스는 디지털헬스와 제약바이오의 융합을 통해 산업 간 경계가 허물어지는 빅블러 시대에 헬스케어의 뉴노멀을 제시하고, 파괴적 혁신과 기업 성장을 이끌 것"이라고 밝혔다. 

김 회장은 이날 오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서울클럽에서 열린 아주경제신문 '제15회 글로벌헬스케어포럼' 축사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국내에서는 올해 디지털의료제품법 시행으로 디지털치료제와 전자약 등 디지털헬스기기와 의약품이 조합되는 디지털융합의약품의 등장이 예고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신약후보물질 발굴과 임상시험 설계, 분산형 임상, 디지털 병리 분석, 유전체 분석, 단백질 구조 예측 등에 첨단 디지털헬스 기술이 적용되면서 디지털헬스가 제약바이오산업의 혁신과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전망된다"고 전했다.

양질의 데이터 확보와 AI 등 IT 기술력을 성장시켜야 한다고도 밝혔다. 김 회장은 "각종 규제로 인해 산업 생태계가 도태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방향 제시도 필요하다"면서 "데이터와 AI 등 첨단 IT 기반인 디지털헬스 특성상 한시라도 지체되면 세계 시장에서의 격차는 회복 불가능하게 벌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김 회장은 "올해는 보건의료 분야에 마이데이터가 적용되는 원년으로, 의료 AI와 디지털헬스산업 부흥의 분기점이 되리라 생각한다"며 "중대한 변화의 시기에 발맞춰 이번 포럼이 안전한 데이터 관리와 보호,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개인화된 의료데이터셋의 다양한 활용까지 수많은 담론이 이어지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