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풍력산업협회는 2일 부산 벡스코에서 '2025 해상풍력 공급망 콘퍼런스 전시회'를 개최하고 해상풍력 산업 육성, 입찰제도 등 최근 풍력 업계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현장에는 두산에너빌리티, SK오션플랜트 등 주요 해상풍력 공급망 기업과 전문가들이 대거 참석했다.
정부는 2030년까지 해상풍력 설비 용량을 14.3GW(기가와트) 규모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추진 중이지만 현재까지 설치된 용량은 0.26GW에 그친다.
해상풍력 산업의 실질적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시장 중심의 공급망 육성 방안이 필수라는 목소리가 커지는 이유다.
국내 공급망은 그동안 시장 지원 없이 연구개발(R&D) 중심의 풍력터빈 개발에 집중돼 있었다. 이제는 시장을 중심으로 한 육성 전략이 절실하다는 의견이 나오는 상황이다.
김 교수는 "해상풍력 공급망은 경제성을 갖춘 시장 확산을 지원하고 국내 산업 활성화를 위한 도구로 우선 활용하고 수출 산업으로 육성하는 전략은 국내 시장에서 검증된 실적이 확보된 단계에서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시장이 요구하는 기술 제품을 적기에 공급하기 위한 수요 기반 R&D 지원을 더 강화하고 해외 터빈 제작사와 협업해 핵심 부품 공급망을 육성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이슬기 산업연구원 연구위원도 이날 풍력 산업 육성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를 강조했다.
이 연구위원은 국내 풍력 산업 육성을 통해 에너지·자원·경제 안보를 확보하고 탄소 중립으로 주력 제조업의 출혈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부가가치와 고용을 창출하는 신산업 육성 등 장기적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진단했다.
또 단계별 전략 수립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단기적으로 한시적 지원을 통해 국산 기자재의 경쟁력을 높이고 중기적으로는 국산 기자재 활용 지원을 통한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날 참석한 전문가들은 해상풍력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일관성 있는 정책 마련이 필수라고 입을 모았다. 해상풍력 공급망 활성화를 위해서는 중장기적인 전략 수립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또 입찰 물량 확대뿐 아니라 낙찰받은 사업이 정상적으로 준공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도 함께 병행돼야 한다고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