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Q 실적 프리뷰] 전문가들 "하반기 실적도 난망, 대미 협상이 관건" 

  • 상호 관세 현실화 시 하반기 경기 악화 불가피

  • 국가·기업 경기 안정화 위해 '세제·규제 완화' 강조

지난 7월 1일 경기도 평택항에 쌓여 있는 컨테이너와 세워져 있는 수출용 자동차 모습 사진연합뉴스
지난 7월 1일 경기 평택항에 쌓여 있는 컨테이너와 세워져 있는 수출용 자동차 모습. [사진=연합뉴스]
경제 전문가들은 3일 트럼프발 관세, 내수 부진 등 대내외 리스크로 올해 하반기 경기 상황이 더욱 악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의 불황이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고 지적하며 정부가 대미 통상 협상과 경제 회생안 마련에 진력할 때라고 입을 모았다. 

이상호 한국경제인협회 경제산업본부장은 "오는 8일 상호 관세 유예 기간이 끝나고 추가 유예 없이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 기업들이 어려운 상황에 처할 수밖에 없다"며 "트럼프발 관세 전쟁을 회피하기 위한 국가 간 수출 전쟁이 본격화해 수출 환경도 매우 어려워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황용식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국제통화기금(IMF)이 내놓은 (한국) 성장률 전망치가 1%대 초반에 불과한 상황에서 기업들이 하반기 실적을 잘 낼 것으로 예측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미국과 관세 협상을 진행한 결과가 하반기 기업 실적을 좌우할 것으로 보고 있다. 황 교수는 "우리 국내총생산(GDP) 중 70%가 수출에 의존하고 있는 만큼 하반기 기업 실적도 결국 대미 무역 협상 결과와 관련 리스크에 결부돼 있다"고 설명했다. 

홍기용 인천대 경영학과 교수는 "우리나라는 우회 수출 비중이 높아 트럼프 관세 문제가 정리돼야 수출 안정화를 이룰 수 있다"며 "정부가 상호관세에 대한 협상을 어떻게 마무리하는지에 따라 기업은 물론 국가 경제도 좌우될 것"이라고 했다. 

홍 교수는 경기 회복과 기업 활력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세제 개편을 꼽았다. 그는 "기업이 실적 악화로 투자 여력이 없는 와중에 고율 상속세 등으로 속앓이를 하고 있다"며 "새 정부 출범 이후 노란봉투법 등 처리 방안도 명확하지 않아 하반기는 물론 내년 사업에 대한 투자 방향성까지 잃었다"고 꼬집었다. 
 
이 본부장은 "경기 회복을 위해선 기업의 성장 사다리를 복원하는 게 중요한데 기업 규모에 따른 차별적 규제가 많다"며 "현 정부가 네거티브 규제에 대한 시스템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만큼 과감한 재정 투입을 통해 침체된 경기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조언했다. 

황 교수 역시 "정부가 기업 투자에 대한 세제 혜택과 연구개발(R&D) 지원 등을 확대한다면 중장기적으로 경영 여건이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