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주총 시대 성큼…예탁원 주총 플랫폼 어디까지 왔나

  • 종합포털·회의플랫폼 등 구성

 
자료한국예탁결제원
[자료=한국예탁결제원]

전자주주총회(전자주총) 제도 도입을 담은 상법 개정이 시행을 앞둔 가운데, 한국예탁결제원(예탁원)도 관련 시스템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비대면·디지털 전환 흐름에 발맞춰 주주 의결권 행사 방식이 온라인으로 확대될 기반이 마련되고 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예탁원은 전자주총 운영의 핵심이 될 통합 플랫폼 구축 작업을 진행 중이다. 최근에는 시스템 설계와 개발에 참고할 기술적 자문을 받기 위해 업계에 정보 제공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예탁원이 구상 중인 전자주총 플랫폼은 △전자주총 종합 포털 △온라인 회의 플랫폼(K-Meeting, 가칭) △현장 주총 지원 시스템 등으로 구성된다. 종합 포털에서는 전자 주총 업무 전반을 단일 플랫폼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서비스 간 중복 없이 효율적으로 운영을 하기 위한 목적이다. 이 포털은 온라인 회의 플랫폼과 기존에 쓰고 있는 전자투표 시스템(K-Vote)과 상호 연계된다.
 
온라인 회의 플랫폼에는 주주 출석 확인, 실시간 영상 중계, 질의응답, 당일 전자투표 등 주총 당일의 실질적 의사결정 기능을 모두 담을 예정이다.
 
앞서 정부는 비대면 문화 확산과 기업 디지털 전환 흐름을 반영해 전자 주총 제도 도입을 추진했다. 지난 15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상법 개정안에 따르면 상장회사는 이사회 결의만으로 전자주총을 개최할 수 있게 됐으며 일정 규모 이상의 상장회사는 전자주총 개최를 의무적으로 해야 한다.
 
의무 개최 기업 기준은 추후 시행령으로 정해질 예정이다. 현재까지 논의된 기준은 자산총액 2조원 이상인 상장사이며 적용 대상 기업은 200곳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개정으로 도입되는 전자주총은 단순한 실시간 중계를 넘어 온라인으로 참여한 주주도 실제 출석으로 간주된다. 의사 진행과 결의에도 실시간으로 참여할 수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기업과 주주의 선호가 변화하면서 대부분 OECD국가(37개국)에서 전자주주총회 기반이 확산되고 있다. 개정된 전자주총 제도는 2027년 1월 1일부터 시행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