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기고] 건설산업, 기후변화 대응 선도하는 산업으로

김영덕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김영덕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최근 집중호우와 폭염으로 인해 국민의 고통이 커지고 있다. 충청·호남 지역의 기록적인 폭우로 이달 22일 기준 인명 피해가 21명에 이르고 있고 주택 침수·파손, 도로·교량 파손 등 시설 피해 신고 건수는 6752건에 달한다. 포스텍 환경공학부 연구팀에 따르면 이번 7월 한 달 동안 극한 폭우 발생빈도는 예년보다 최대 3.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 발표를 보면 올해 7월 1일부터 7일까지 하루 평균기온은 전국 97개 관측 지점 중 66곳에서 역대 가장 높게 기록됐다.

이러한 기후변화 영향은 우리나라만의 일은 아니다. 폴란드, 그리스, 스페인 등 유럽 주요국들에서는 40도를 넘는 폭염 및 극심한 가뭄과 산불 등으로 인하여 전례 없는 기상이변을 경험하고 있다. 미국 텍사스주에서는 홍수로 인하여 100명 넘는 사망자를 기록하였고, 프랑스와 중국에서도 극한 호우로 인해 인명·재산 피해가 극심하다.

최근의 기상이변은 기후위기의 심각한 현실을 단적으로 보여 준다. 유엔 산하 세계기상기구(WMO)는 지난 7월 1일 최근의 폭염이 일시적 기상이변이 아닌 새로운 기후 현실이라며 폭염과 함께 살아가는 법을 배워야 할 때라고 경고한 바 있다. 최근의 기상이변이 이상적인 현상이 아니라 일상이 되고 있는 것이다.

향후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적극적인 노력의 목소리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파리 기후공시 의무화를 사실상 철회하고, 유럽연합(EU)에서 지난해 말 기업의 부담을 고려해 공시기준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등 주요국들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이 다소 식었으나 최근 세계 곳곳에서 이어지는 기상이변은 적극적인 기후변화 대응의 목소리에 힘을 싣게 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연방정부 움직임과는 반대로 내년부터 기후변화 공시를 법제화하는 기후공시 법안이 발의됐고, 뉴욕주에서도 기후 공시법안이 발의됐다. 호주와 싱가포르는 당초 계획대로 2026년부터 기후공시를 의무화할 것으로 보이고 일본, 홍콩, 캐나다, 영국 등에서도 기후공시를 의무화하기 위한 공시기준 마련이 진행 중이다.

우리나라는 이재명 정부에서 국정 과제로 기후위기 대응과 재생에너지 중심 사회로의 전환을 채택했다. 최근 전 세계적인 기상이변 현상을 고려할 때 매우 시의성 있는 정책이라고 판단된다. 또 공공기관은 물론 민간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노력을 적극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우리 건설산업도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국가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건축물을 비롯해 도로 등 교통인프라, 더 나아가 도시의 기후변화 대응 노력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인프라 기반을 제공하는 건설산업은 매우 중요한 산업이다.

에너지 사용량 축소 및 탄소 배출량 감축에 있어 새로운 대체 자원의 개발 및 재생에너지 확대 등이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핵심 과제라는 측면에서 인프라를 제공하는 건설산업은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선도 산업이 돼야 한다. 건축물 및 건설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과 에너지 소모량을 고려할 때 ‘제로 에너지 건축물’ ‘그린 리모델링’ 등 녹색 건축 정책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고, 친환경 건설산업의 실질적인 정착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제도 정비와 함께 건설기업, 발주자의 참여 확산을 위한 지원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최근 기후변화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건축물 및 도시의 방재 역량을 향상하고, 기후변화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새로운 건설 기술 개발에 주력해야 하며, 건설사업 수행 과정에서 건설근로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강화하는 등 인간 중심의 안전한 환경 조성에 있어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할 필요가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