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과 유럽연합(EU) 간 무역합의가 조만간 타결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면서 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2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07.85포인트(1.14%) 오른 45,010.29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49.29포인트(0.78%) 뛴 6,358.91에, 나스닥종합지수는 127.33포인트(0.61%) 상승한 2만1020.02에 각각 마감했다.
S&P500지수는 이날까지 3거래일 연속 종가 기준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날 상승으로 S&P 500 지수는 올해 들어 12번째 최고치 기록을 경신하게 됐다.
다우지수는 약 7개월 만에 4만5000선을 회복하며 작년 12월 기록한 사상 최고치 경신을 눈앞에 뒀고, 나스닥은 사상 처음으로 종가 기준 2만1000선을 넘어섰다.
시장 상승세의 배경에는 주요국 간 무역협상 기대감이 자리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날 일본과의 무역협상 타결을 공식화한 데 이어, EU와도 조만간 합의에 이를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미국이 EU산 수입품에 15%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미-EU 간 무역 합의에 근접했다고 이날 보도했다.
이에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산 수입품에 15%의 상호관세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에 예고됐던 25%보다 10%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블루칩 데일리 트렌드 리포트의 래리 텐타렐리 수석 기술 전략가는 로이터통신에 "핵심은 시장이 백악관이 이런 무역협정을 계속 추진해 나갈 것이라는 확신을 갖고 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BMO캐피털마켓의 이언 린겐 매니징 디렉터 겸 미국 금리 전략 수석도 블룸버그통신에 "8월1일 마감 시한이 다가오면서 투자자들은 최근 무역 협상 발표에 고무됐다"며 "무역 전쟁의 진전은 명확성을 제공하고 시장이 새로운 글로벌 무역 환경에 적응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뉴욕증시의 상승세에 ‘밈 주식(온라인에서 입소문을 타고 개인투자자들이 몰리는 주식)’ 투자도 증가하고 있다. 휴대용 카메라 장비 업체 고프로는 이날 장중에 전일 대비73% 폭등하기도 했지만, 이후 등락을 거듭하며 결국 전장 대비 12% 상승한 상태로 마감했다. 도넛 프랜차이즈 크리스피크림 역시 이날 개장 초 장중 40% 가까이 오르기도 했지만 결국 4.6% 상승하는데 그쳤다.
시장의 이목이 쏠렸던 알파벳과 테슬라의 실적은 희비가 엇갈렸다. 알파벳은 매출과 순이익 모두 시장 기대를 웃돌았으나, 테슬라는 예상을 밑도는 성적을 내놨다. 알파벳은 정규장에서 약보합세로 마감했고, 테슬라는 소폭 상승 마감했지만 두 종목 모두 시간외 거래에서는 하락세를 나타냈다.
알파벳은 장 마감 후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964억2800만 달러, 주당순이익(EPS)은 22% 급증한 2.31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모두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다. 반면 테슬라는 같은 기간 매출이 12% 줄어든 225억달러, EPS는 23% 감소한 0.40달러로 시장 기대에 못 미쳤다.
이외 빅테크 종목 중에서는 엔비디아가 2.25% 상승했다. 메타도 1%가량 올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