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24일 "소상공인의 회복과 성장을 돕고, 디지털, AI 등 혁신 기술을 통해 중소벤처 기업의 '진짜 성장'을 설계하겠다"고 밝혔다.
한 장관은 이날 세종 중소벤처기업부 청사에서 열린 취임사에서 "기술과 데이터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면 시장에서 살아남기 어려운 시대가 됐다"며 이 같이 말했다.
한 장관은 "소상공인 경영안정을 위해 2차 추가경정예산을 신속하게 집행하고 상환기간을 연장하는 등 채무부담을 경감하겠다"며 "소상공인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고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 소상공인 누구나 온라인, 플랫폼 등 디지털 환경을 적극 활용해 성장하도록 돕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취임 일성으로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과 인공지능(AI) 전환을 제시헸다. 이를 위해 '스마트 제조산업 혁신법' 제정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한 장관은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은 기초부터 고도화까지 다양한 수준으로 보급하고, AI 스마트 공장 등으로 확산하겠다"고 강조했다.
창업·벤처기업에 대한 혁신 방안도 제시했다. 한 장관은 "최고 수준의 벤처, 스타트업 생태계를 위한 '벤처 4대 강국 도약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연기금 등 민간자금의 벤처투자 시장 참여 확대, 모태펀드 존속기간 연장 등 기능 재정립을 통해 국내 벤처투자 시장을 적극적으로 확대하겠다"고 약속했다.
한 장관은 "이러한 협업과 혁신이 성장의 기반이 되기 위해선 공정한 경쟁과 투명한 거래질서가 우선 시 돼야 한다"며 "'한국형 디스커버리' 제도를 도입.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탈취 행위를 근절하고 수·위탁거래에서의 불공정 행위에는 단호히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한 장관은 "5대 초광역권과 3대 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지역 혁신거점을 조성하고 지역의 대학·연구기관, 중소·중견기업, 혁신 스타트업을 연결해 협력 기반을 구축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중소기업중앙회는 논평을 통해 한 장관 취임을 축하하며 “한 장관이 인사청문회에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디지털 전환을 진심으로 돕고 싶다는 의지를 밝혔듯 네이버 등 IT산업에서 쌓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중소기업·소상공인의 AI·디지털화에 주력해주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