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걸은리 주민들로 구성된 ‘강천면 철도건설 터널공사 피해 대책 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는 이날 복선전철 강천터널 공사현장 인근에 모여 '주민안전 위협하는 차량통행 중지하라' '소음, 진동, 미세먼지, 수질오염 못살겠다'등의 플래카드를 걸고, 시위를 벌이며 대책을 각계에 호소했다.
추진위에 따르면 시공사 측이 사전에 아무런 설명조차 없이 올 초부터 갑자기 터널 굴착 작업을 하면서 발파로 인해 발생하는 대포알 터지는 소음과 지진 같은 지반 진동이 현재까지 매일 발생해 주민들을 고통 속으로 몰아넣고 있다는 것.
주민들은 무엇보다 화약 냄새와 폭음 뒤에 날아드는 분진(돌과 흙가루)이 마을을 뒤덮어 이로인해 호흡곤란과 환청으로 인한 수면 장애를 겪고, 불안과 공황장애 증상까지 겪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무엇보다 하루도 빠짐없이 동네 앞길을 하루에도 수십 차례 공사장 대형 덤프트럭으로 인해 교통사고 위험이 크고, 도로 침하와 낙석 위험도 제기되고 있다"면서 일부 주민들은 "분진과 화약 냄새로 창문을 열 수 없다"고 호소했다.

주민들은 "지반 진동으로 인해 주택 벽과 담벼락이 갈라지는 등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며 "공사중단 등 대책이 없다면 무기한으로 시위를 계속하겠다"는 뜻을 강력하게 밝혔다.
그러면서 "여주시에 진정과 단속 대책을 요구하면, 형식적인 절차를 밟으면서 국책사업이란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고 강한 불만을 토로했다.
이와 관련해 공사 현장 관계자는 "적법한 절차에 따라 법적 한도 내에서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주민들의 주장을 일축하며 "주민들이 공사현장에 안전사고 위험이 있으나 출입을 금해줄 것"을 당부했다.
문제의 현장은 여주역에서 강원도 서원주역까지 22.2km 경강선 구간을 연결하는 복선전철 신설사업이다. 국토교통부가 발주하고 국가철도공단이 시행하고 있는 국책사업으로 대표주관사인 K 건설 등 7개 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시공을 맡았으며 기술제안서를 통해 △시공방안 △비용절감 △민원해소 방안을 제시하면서 높은 점수를 받아 공사를 수주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추진위는 여주시와 국토교통부에 근본적인 대책을 요구하며 지속적인 집회와 시위를 이어갈 뜻도 밝혔다. 이들은 "날마다 터지는 발파음과 흔들리는 집에서 불안에 떠는 삶은 더 이상 감내할 수 없다"며 '소음·진동관리법'에 근거해 환경분쟁조정, 행정소송, 손해배상 청구, 가처분 신청 등 법적 대응도 검토 중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