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에너지솔루션의 미시간 법인 [사진=LG엔솔]
LG에너지솔루션이 6조원 규모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에너지저장장치(ESS)용 LFP와 전기차용 고성능 삼원계(NCM·NCA) 배터리를 축으로 한 '투 트랙 전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테슬라가 대형 공급처로 지목돼 업계 이목이 집중된다.
30일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매출의 23%에 해당하는 5조9442억원의 LFP 배터리 공급 계약을 맺었다고 공시했다. 계약 기간은 2027년 8월부터 2030년 7월까지 3년이며, 최대 7년까지 계약 연장 및 물량 확대가 가능하다.
공급처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테슬라를 유력하게 거론한다. 테슬라는 올해 1분기 실적 발표에서 관세 부담 등을 이유로 중국산 LFP 배터리 의존도를 낮추고 북미 내 공급망으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현지 LFP 생산 역량을 갖춘 LG에너지솔루션이 대체재로 부상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형 수주에 성공하며 LG에너지솔루션의 '이원화 전략'이 탄력을 받게 됐다. 에너지 고밀도가 요구되는 전기차 시장은 삼원계 배터리로, 가격·안전성이 중요한 ESS 시장은 LFP 배터리로 나눠 대응하며 수익성과 매출 안정성을 동시에 추구한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LFP는 ESS에, 삼원계는 전기차에 각각 적합하다"며 "LG에너지솔루션의 이원화 전략은 시장 특성과 고객 요구를 모두 반영한 리스크 분산 방안"이라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