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벤처캐피탈협회, 벤처기업협회, 코스닥협회 등 3개 단체는 30일 여의도에서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코스닥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안 기자간담회를 열고 구조 개선을 위한 정책을 제안했다.
이날 3개 단체는 코스닥시장의 활력 회복을 위해 △코스닥 운영 원칙 확립 △유동성 공급 강화 △정부의 정책 비전 제시 등이다.
벤처기업협회는 시장 중심의 코스닥 구조개선이다. 민간 주도의 책임형 상장 구조를 도입해 주관사의 책임과 역할을 강화하고, 성장 가능성 중심의 질적 심사체계로 전환할 것을 제안했다
송병준 벤처기업협회장은 "코스닥 3,000 시대를 열기 위해서는 현시점에서 코스닥시장의 새로운 역할 정립이 필요하다"며 "회수시장의 정체는 결국 창업과 투자의 선순환을 막고 있으며, 이를 구조적으로 바로잡기 위해 시장 중심의 코스닥 구조개선이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코스닥시장이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과 기술력 등 무형 자산에 프리미엄을 부여하는 '성장주 중심 시장'이라는 본연의 정체성을 회복할 수 있도록 중기부와 금융위 등 관계부처 논의를 통해 정부가 정책 로드맵을 제시해 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코스닥협회는 기관의 코스닥시장 투자 및 장기투자자 인센티브 확대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기관투자자의 코스닥시장 참여를 유도하고, 국민연금의 코스닥 투자 비중 확대해야 한다는 게 협회 측의 설명이다. 장기투자자에 대한 배당소득 세율 인하 등 세제 인센티브 강화 방안과 중장기적 자금 유입, 시장 안정성 제고도 제시했다.
이동훈 코스닥협회장은 "한국 경제의 혁신 성장을 위해서는 코스닥기업의 성장과 코스닥시장 활성화가 선결과제"라며 "이를 위해서는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자의 코스닥시장 투자 확대와 개인투자자의 장기투자를 유도할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경영환경에 대한 과도한 규제를 완화해 코스닥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가업승계 제도 개선과 상법상 경영판단의 원칙 도입을 통한 기업가정신 활성화 등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한국벤처캐피탈협회는 코스닥 활성화 펀드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코스닥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기관투자자 중심의 체질 개선을 유도하기 위해, 연간 10조원씩 3년간 총 30조원 규모의 '코스닥 활성화 펀드 ' 조성을 제안했다.
김학균 한국벤처캐피탈협회장은 “창업기업이 글로벌 혁신기업으로 성장해 국가 경제 성장을 견인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나스닥시장과 같이 모험 자본시장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면서, “연간 10 조원씩 3년간 총 30조원 규모의 코스닥 활성화 펀드 조성을 통해 코스닥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기관투자자 중심으로 체질을 개선해 코스닥 3000 시대를 열자 ”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