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정부 첫 집권여당 대표로 '강력한 개혁 당대표'를 내건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선출되면서 국회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당선 직후부터 국민의힘을 '내란세력'이라고 규정하며 협치에 선을 긋고, 대야(對野) 강경 투쟁을 예고하고 나서면서다. 특히 정 대표가 '국민의힘 해산'까지 언급하면서 벌써부터 여야 충돌 조짐을 보이고 있다.
3일 정치권에 따르면, 정 대표는 지난 2일 열린 민주당 임시전국당원대회에서 61.74%를 득표해 당대표에 당선됐다. 정 대표는 수락연설에서 "국회 법제사법위원장 때처럼 속 시원하게, 헌법재판소 국회 탄핵소추위원 때처럼 진중하게 당을 이끌어가겠다"고 선언했다.
그러면서 특유의 직설적인 화법으로 "국민의힘과의 협치는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정 대표는 현재 상황을 "지금은 아직 내란과의 전쟁 중"이라고 규정하며 "12·3 비상계엄을 통해 사람 목숨을 죽이려 했던 것에 대해 사과와 반성이 없으면 그들과 악수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나아가 "특검을 통해 국민의힘 내부의 내란동조 세력이 확인되면, 자연스레 위헌정당 해산심판 청구를 요구하는 국민적 목소리가 커질 것"이라고도 언급했다.
통상 당대표로 선출되면 여야 대표 간 상견례를 갖는 것이 관례지만, 정 대표는 국민의힘을 야당으로조차 인정하지 않는 듯한 태도를 보인 것이다. 이에 정치권에서는 정 대표의 당선 이후 윤석열 정부 시절의 '강대강' 대립 구도가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정 대표는) 오직 민주당의 강성 지지층만 보고 일을 한다"며 "정 대표의 극단주의가 국민의 등을 돌리게 할 날이 머지않았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야당을 대하는 정 대표의 태도가 이재명 정부와 달라 당정 간 '불협화음'이 날 수도 있다는 전망이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이후 '국민 통합'을 강조하며 윤석열 정부 시절 재의요구권(거부권)이 행사된 법안들을 여야 협치로 처리하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왔다. 민주당 원내지도부도 양곡관리법, 상법 개정 등 여야 이견이 큰 법안들에서 속도조절을 하며 국민의힘을 설득해 왔다.
이런 상황에서 정 대표의 강경 발언이 실제 행보로 이어질 경우 당정 관계에 충돌이 생길 수 있다는 관측이다. 이 대통령이 지난 2일 정 대표 당선 이후 첫 통화에서 '원팀 정신'을 당부한 것도 이러한 기류와 무관하지 않다는 해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