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강행하는 인도를 향해 “관세를 올리겠다”고 경고했다. 이에 인도는 “불합리하다”고 반발하며 맞대응을 예고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휴전 협상에 진전이 없자 미국이 러시아를 우회적으로 압박하는 가운데 러시아는 중·단거리 미사일 배치를 위한 빗장을 풀며 서방 국가들을 위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자신 소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인도는 막대한 양의 러시아산 석유를 구매할 뿐만 아니라 구매한 석유의 많은 부분을 공개 시장에서 판매해 큰 이익을 얻고 있다”고 적었다. 그는 이어 “그들은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의 전쟁 기계에 의해 얼마나 많은 사람이 죽고 있는지 신경 쓰지 않는다”며 “이 때문에 나는 인도에 대한 관세를 상당히 올릴 것”이라고 공언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에도 인도에 대해 같은 문제를 지적하면서 25% 상호관세와 함께 ‘벌칙’을 부과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 발언은 7일 상호관세 발효를 앞두고 미국과 인도 간 무역 협상이 난항을 겪는 상황에서 추가 관세 카드로 인도를 압박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 동시에 인도에 석유를 판매하고 있는 러시아의 돈줄을 옥죄면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와 휴전 협상에 적극 임하도록 유도하는 언급으로도 풀이된다.
인도도 가만히 있지 않았다. 란디르 자이스왈 인도 외무부 대변인은 소셜미디어 X(옛 트위터)에 성명을 통해 “인도를 타깃으로 삼는 것은 정당하지 않으며 불합리하다”고 비판했다. 그는 “인도는 우크라이나 충돌 발발 이후 (인도로 오던) 전통적 공급 물량이 유럽으로 가면서 러시아에서 수입하기 시작한 것”이라며 “국익과 경제안보를 지키기 위해 모든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 발언은 그가 러시아에 대한 종전 압박을 강화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가 8일까지 우크라이나와 휴전에 동의하지 않으면 러시아와 교역하는 국가에 최대 100%에 달하는 ‘2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해 왔다. 미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인도는 러시아산 원유의 38%를 수입하고 있으며, 중국은 47%를 사들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러시아는 서방국가와 미국 동맹국을 향해 미사일 전진 배치 가능성을 시사했다. 러시아 외무부는 성명을 내고 과거 미국과 소련이 중·단거리 탄도미사일 배치를 중단하기로 한 ‘중거리 핵전력조약(INF)'에 더는 얽매이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러시아연방은 중·단거리 미사일 배치에 있어 행동의 자유를 가지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의 국경 인근 공격행위에 대응해야 할 때 상황에 따라 이를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나토 회원국은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방안을 확정해 발표했다. 네덜란드 국방부는 우크라이나에 지원할 미국산 무기 구매 대금 중 5억 유로(약 8000억원)를 부담하겠다고 밝혔다. 마르크 뤼터 나토 사무총장도 네덜란드의 첫 기여 결정을 환영하면서 “다른 동맹들도 곧 중대 발표를 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