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술경영지원센터가 주최·주관하고,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후원하는 ‘2025 서울국제공연예술제(Seoul Performing Arts Festival, SPAF, 이하 SPAF)'가 오는 10월 16일부터 11월 9일까지 국립극장, 세종문화회관,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 등 서울 주요 공연장에서 열린다.
올해 25회를 맞은 SPAF는 ‘얽힘과 마찰(Entanglement and Friction)’을 주제로, 연극·무용·다원예술 등 국내외 주요 작품 22편과 다양한 워크숍, 협력 창작랩 등을 축제 기간 동안 관객들에게 선보인다. 25년간 다져온 축제의 역사와 경험 위에 세계 공연예술의 흐름을 압축해 담고, 한층 확장된 시선과 실험적인 무대를 더했다.
올해 축제에서는 국내외 공연예술계의 화제작과 실험적인 작품들을 대거 소개한다. 연극 부문에서는 SPAF 협력 예술가 구자하의 <하리보 김치(Haribo Kimchi)>, 우카시 트바르코프스키의 〈디 임플로이(The Employees)〉, 위차야 아르타맛의 〈반 쿨트, 무앙 쿨트 : 숭배에 관하여(Baan Cult, Muang Cult)〉 등 각기 다른 문화권과 시선으로 현대사회의 갈등과 역설을 탐구한 작품들이 무대에 오른다.
무용 부문에서는 세계 현대무용의 정수를 담은 프로그램으로 관객들을 찾아간다. 중국 현대무용의 선두주자인 타오 댄스 씨어터의 신작 <16&17>, 전자음악과 군무가 결합된 (라)오흐드X론X마르세유 국립 발레단의 〈룸 위드 어 뷰(Room With a View), 전통춤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한〈마지막 춤은 나를 위해(Save the Last Dance for Me), 기후위기를 주제로 한 <1도씨(1 Degree Celsius)> 등 각기 다른 문화권의 안무가들이 전하는 독창적인 신체 언어가 올해 SPAF 무용 프로그램의 스펙트럼을 한층 넓힌다. 무용 프로그램은 ‘댄스 리플렉션 BY 반클리프 아펠‘과의 협력으로 진행된다.
국내외 창작자 및 기관과의 협력, 그리고 창작 과정을 관객과 나누는 ‘협력 기획·과정 공유 프로젝트’ 또한 주목할 만하다. 2023년부터 SPAF와 아트코리아랩이 협력해 진행해온 사운드 창작랩의 마지막 결과물로 선보이는 안상욱 작가의 <12 사운드(12 Sounds)>이 무대에 오른다. 또한 대학로극장 쿼드와 공동 기획한 관객 참여형 게임 퍼포먼스 <에세즈 메세즈: 당나귀들의 반란(asses.masses)>도 선보인다. 이와 함께,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의 중장기 국제공동제작 협력작인 박본의 <세 번째 전쟁(The Third War)>은 창작 과정을 관객과 공유하는 과정 공유 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
올해 SPAF 워크숍 페스티벌은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예술·과학의 접점, 사운드·뉴뮤직의 확장과 변주, 일반인과 무용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무용 워크숍 및 마스터 클래스 등을 주제로 펼쳐진다. 강연·라운드 테이블·참여형 워크숍 등 다양한 형식으로 구성되며, 관객은 예술가의 창의적 과정, 예술·과학·철학이 만나는 다학제 간 교류를 직접 경험할 수 있다.
SPAF 공연을 가장 먼저 만나볼 수 있는 얼리버드 티켓은 오는 19일부터 최대 40%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된다. 예매는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 세종문화회관 등 각 공연장 홈페이지와 지정 예매처에서 가능하다. 프로그램과 일정, 예매 관련 정보는 SPAF 공식 홈페이지와 SNS에서 확인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