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국수력원자력과 한국전력이 체코 원전을 수주하는 과정에서 미국 웨스팅하우스(WEC)와 체결한 '글로벌 합의문'이 공개돼 파장이 일고 있다.
합의문에는 한국 측이 원전 1기당 6억5000만 달러 규모의 물품·용역을 WEC에서 의무적으로 구매하고, 별도로 1억7500만 달러의 기술 사용료도 지급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국내 유일 원전 주기기 제작사인 두산에너빌리티는 26조원 규모의 체코 두코바니 원전 프로젝트에서 주요 기자재 공급 및 시공을 담당하고 있다. 계약 주체는 한수원이지만, 두산에너빌리티가 핵심 기자재를 공급하는 역할을 맡으며 K-원전 수출 산업화의 첨병으로 주목을 받았다. 시장에서는 두산의 수주액이 8조5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다만 WEC로 빠져나갈 자금을 감안하면 수익성은 다소 악화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향후 50년간 한국 기업이 소형모듈원전(SMR)을 수출할 때마다 WEC의 사전 검증을 받아야 한다는 내용도 독소 조항으로 꼽힌다.
두산은 대형 원전 사업과 더불어 SMR을 미래 성장 동력으로 지목하고 적극적인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SMR은 대형 원전보다 건설 비용이 적고 위험성이 낮아 원전업계 게임 체인저로 통한다. 두산은 글로벌 SMR 설계 업체인 테라파워, 뉴스케일파워, 엑스-에너지와 파트너십을 맺고 글로벌 SMR 시장 진출을 추진해 왔지만 그간의 노력이 허사가 될 위기에 처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두산에너빌리티는 국내 원전 생태계의 중심 기업으로 SMR 시장 확대를 통한 도약을 준비했지만 이번 체코 원전 파동으로 미래 사업에 족쇄가 채워진 셈"이라며 "원전 생태계의 중추 기업이 흔들릴 경우 한국 산업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