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한·일 과제 공동 대응…국제 정세 속 한·미·일 협력 중요"

  • "수소·AI 등 미래 산업 시너지 발휘할 방향 논의"

  • "'셔틀 외교' 재개…양국 외교 새 모델 정착 기대"

이재명 대통령이 23일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열린 한일 정상 공동 언론 발표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3일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열린 한일 정상 공동 언론 발표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수소, 인공지능(AI) 등 경제 분야, 저출산·고령화 등 사회 분야 등 주요 현안에 대해 논의한 후 양국 간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공조도 이어가기로 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23일 일본 도쿄에 있는 총리 관저에서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 정상회담을 진행한 후 공동언론발표를 통해 "저와 이시바 총리는 한·일 관계 발전 방향과 교류와 실질 협력 방안, 한반도 평화와 북한 문제, 주요 글로벌 현안 등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경제 분야에서는 수소, 인공지능 등 미래 산업에서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는 협력 방향에 대해서 논의했다"고 설명했다.

또 "사회 분야에서는 저출산·고령화, 수도권 집중, 농업, 재난, 안전 등 양국이 직면한 공통 과제에 공동 대응할 필요성에 공감하고, 정책 경험을 공유해 해결 방안을 한층 모색하기 위해 당국 간 협의체를 출범시키기로 했다"고 언급했다.

이어 "인적 교류에서는 1200만 교류의 시대를 맞아 한일 청년들이 서로의 문화를 체험하고 이해하는 기회를 넓히기 위해 워킹 홀리데이의 참여 횟수를 확대하기로 합의했다"고 부연했다.

이 대통령은 "안보 분야에서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구축 의지를 재확인하고, 대북 정책에서 긴밀한 공조를 지속하기로 했다"면서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흔들림 없는 한·일, 한·미·일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에 인식을 같이 하며, 한·일 관계 발전이 한·미·일 협력 강화로 이어지는 선순환을 만들어 가기로 했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저와 이시바 총리는 오는 10월 한국 경주에서 열리는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와 일본의 의장국인 한·일·중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특히 "1965년 한·일 국교 정상화 이래로 대한민국 대통령이 취임 후 첫 양자 방문 국가로 일본을 찾은 것은 제가 최초라고 한다"며 "이 정도로 우리가 한·일 관계를 얼마나 중시하는가를 보여주는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저와 이시바 총리는 오늘 정상회담을 통해 다양한 주제를 두고 허심탄회하게 논의했고, 이를 정상회담 공동 결과 문서도 발표하기로 합의했다"며 "이 또한 17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라고 한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오늘을 계기로 양국 정상 간 '셔틀 외교'도 재개됐다 이는 민주 대한민국의 복귀 이후 한·일 관계가 조속히 정상 궤도에 올랐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격식에 얽매이지 않고 수시로 방문하고 대화하는 정상 간 '셔틀 외교'가 한·일 외교의 새로운 모델로 정착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