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미국 압박에 對중국 관세인상 검토"

  • 중국산 자동차에 최대 20%의 관세율

멕시코 중앙은행 100주년 기념식 연설하는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 사진EPA·연합뉴스
멕시코 중앙은행 100주년 기념식 연설하는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 [사진=EPA·연합뉴스]


멕시코 정부가 내년도 예산안 발표를 앞두고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인상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3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행정부는 내달 8일까지 의회에 제출할 2026년도 예산안에 중국산 자동차·섬유·플라스틱 등 일부 수입 품목에 추가 관세 부과 방안을 포함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구체적인 추가 관세율은 명확하지 않으며, 계획도 변경될 수 있다.
 
현재 멕시코는 중국산 자동차에 최대 20%의 관세율을 매기고 있으나, 미국의 대중 관세에 비하면 낮은 수준이다.
 
이 같은 방침은 재정적자 해소를 위해 세수를 확대하는 동시에 미국의 정치적 압박이 반영된 조치로도 해석된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셰인바움 정부는 전임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정부에서 발생한 대규모 재정적자(2024년 기준)를 떠안고 있는 상황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는 올해 초부터 멕시코에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미국 수준의 관세 인상을 요구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2월에는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간 무역·제조업 협력 강화를 뜻하는 ‘북미 요새’ 구상을 언급하기도 했다.
 
블룸버그는 미국이 멕시코에 압박을 가하는 배경에 대해 “중국산 제품이 멕시코를 경유해 미국으로 우회 유입되고 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국이 최대 교역국인 멕시코에 저가 중국산 제품 유입 차단을 압박하는 배경과 관련해서는 "중국 제품이 멕시코를 거쳐 미국으로 우회 유입된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이 반영된 맥락으로도 봐야 한다고 블룸버그는 부연했다.
 
이 와중에 셰인바움 정부는 불확실한 무역 환경 속에서 투자를 유치하고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산업 단지 조성과 공공 지출 사업에 중점을 둔 이른바 ‘플랜 멕시코’를 추진하는 중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한편 멕시코의 관세 인상이 현실화될 경우 중국 외에 다른 아시아 국가들도 추가 관세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고 한 소식통은 언급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