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 동구(구청장 김진홍)가 오는 9월부터 지역화폐 e바구페이의 인센티브율을 기존 5%에서 15%로 대폭 상향한다.
2019년 발행 이후 최대 수준으로,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동안 e바구페이는 충전금액의 5%를 인센티브로 지급해 왔으며, 전액을 구비로 충당했다. 이번 조정으로 인센티브율은 최대 15%까지 확대되며, 이 중 10%는 국비가 지원된다.
확대 운영은 9월 1일부터 시작된다. 월 충전 한도는 40만 원으로, 충전 시 최대 6만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인센티브는 충전과 동시에 즉시 지급돼 이용자는 실질적 혜택을 바로 체감할 수 있다.
동구는 이번 조치가 지역 소상공인 매출 증대에 실질적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면서도, “예산 소진 시 인센티브 지급이 조기 종료될 수 있다”며 빠른 참여를 당부했다. 아울러 11월과 12월의 운영 정책은 발행 추이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진홍 동구청장은 “이번 인센티브 상향으로 지역경제가 활기를 되찾고, 소상공인들이 매출 증대를 체감할 수 있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주민과 소상공인이 함께 만족할 수 있는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e바구페이는 동구 관내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하며, 모바일 앱을 통해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부산 동구 홈페이지 또는 e바구페이 고객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부산 동구(구청장 김진홍)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위기가구 신고자 포상금 제도'를 연중 운영한다고 밝혔다.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위기가구를 조기 발굴하고 신속한 지원으로 이어지도록 하려는 취지다.
이 제도는 생계곤란이나 건강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기초생활수급자가 아닌 가구를 주민이 직접 발견해 신고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
주소지와 관계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신고는 관할 동 행정복지센터 방문이나 전화로 가능하다.
신고된 가구가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한부모가정으로 신규 책정될 경우, 신고자에게는 건당 5만 원의 포상금이 지급된다.
동일인이 받을 수 있는 포상금은 연간 최대 20만 원으로 제한된다.
다만 법령상 신고의무자나 공무원, 위기가구 당사자 및 친족, 이미 수급 중인 가구를 신고한 경우, 또는 행복e음 시스템을 통해 이미 통보된 대상은 포상금 지급에서 제외된다.
김진홍 동구청장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제도를 지속 운영해 주민이 직접 복지 사각지대 발굴에 참여할 수 있는 길을 넓히겠다”며 “앞으로도 지역사회 안전망을 강화해 위기가구가 신속하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