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푸틴 "중·러 위협 과장해 日군국주의 부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일본의 군사 노선을 비판하며, 과거 중국과 소련이 함께 맞섰던 일본 군국주의와 독일 나치즘의 경험을 상기시켰다. 그는 우크라이나 전쟁 역시 신(新)나치주의에 대한 저항이라는 기존의 주장을 반복했다.푸틴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중국 관영 신화통신과 서면 인터뷰에서 “허구의 중·러 위협을 구실로 일본의 군국주의가 부활하고 있다”며 “과거 중국과 소련 국민이 함께 싸운 경험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 인터뷰는 푸틴 대통령이 중국에서 열리는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와 제2차 세계대전 승전 80주년 열병식 참석을 앞두고 진행됐다.
그는 중·러가 나치즘과 군국주의를 미화하려는 시도에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히며, 독일을 포함한 일부 유럽 국가들이 군사화 노선을 강화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1937년부터 1941년 사이, 당시 소련이 중국에 제공한 전투기와 포, 탄약, 보급품 등을 열거하며 “소련의 지원은 일본의 항복을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우원식 "정기국회 개회식에 한복 입자"… 여야 온도차
우원식 국회의장이 다음 달 1일 정기국회 개원식에서 의원들이 함께 한복을 착용하자고 다시 제안했다. 그는 한복 착용이 한국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드러내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그는 “한복은 우리의 정체성이 담긴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이고, 세계를 매혹시킨 한류의 상징”이라고 덧붙였다.
정치적 갈등 상황에서 한복 착용을 논의하는 것에 대한 우려도 언급했다. 우 의장은 “여야 갈등이 심한 상황에서 무슨 한복이냐는 의견도 들었다”면서도 “정기국회를 시작하는 특별한 날, 우리 문화와 한류에 대한 자긍심을 표현하는 것은 갈등과는 전혀 다른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블레어 전 英총리, 트럼프에 "가자 주민, 제2의 두바이 꿈꾼다"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총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재한 가자지구 전후 구상 회의에서 "가자 주민들은 새 리더십을 원하며 제2의 두바이를 꿈꾼다"는 취지의 의견을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고 영국 더타임스가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이번 회의는 지난 27일 백악관에서 열렸으며, 블레어 전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사위 재러드 쿠슈너 전 선임보좌관 등과 함께 참석했다. 이스라엘의 론 더머 전략장관도 회의 말미 합류했다.
더타임스에 따르면 블레어 전 총리는 회의에서 팔레스타인 주민들 사이에서 하마스 지지가 감소했다고 강조하며 "팔레스타인은 단일 정부 아래 통일돼야 한다"는 지론을 펼쳤다. 또 하마스-이스라엘 전쟁으로 인한 피해에도 불구하고 평화협정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러시아, 트럼프 '평화회담 시한' 앞두고 우크라 중부 폭격
러시아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시한 ‘평화회담 시한’을 앞두고 우크라이나 중부 지역에 대규모 공습을 감행했다.AFP통신에 따르면 29일(현지시간) 밤새 우크라이나 중부와 남동부 여러 도시가 러시아의 공습을 받으면서 최소 1명이 숨지고, 어린이 2명을 포함해 16명이 다쳤다. 우크라이나 비상국은 텔레그램을 통해 "적이 자포리자에 대규모 공격을 가했다"며 주택·산업체·주유소 등 주요 시설도 파괴됐다고 전했다.
이번 공격은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푸틴-젤렌스키 정상회담 기한을 불과 며칠 앞두고 발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8일 백악관에서 젤렌스키 대통령과 유럽 정상들을 만난 자리에서 "2주 안에 푸틴-젤렌스키 회담이 열릴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회담 시한은 내달 1일로 사실상 못박혀 있다.
우크라이나 중부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주도 집중 공격을 받았다.
내란 특검, 한덕수 전 총리 불구속 기소…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도 겨냥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팀이 한덕수 전 국무총리를 재판에 넘기면서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기소된 윤석열 정부 국무위원은 3명으로 늘었다.특검팀은 한 전 총리에게 내란 방조 혐의를 적용하고 계엄 국무회의 전후 국무위원들의 행적과 발언, 이후 대응을 면밀히 살펴 추가 기소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30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전날 한 전 총리를 내란 우두머리 방조 혐의 등으로 불구속 기소했다. 앞서 기소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에 이어 세 번째다.
이들은 모두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직전 소집한 국무회의에 참석했다. 특검팀은 국무위원들이 불법적 계엄 선포를 막지 않은 것은 '국무위원의 헌법적 책무'를 저버린 것이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