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에콰도르, SECA 협정문 서명…여한구 "수출 확대 등 교두보 확보"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사진연합뉴스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사진=연합뉴스]
산업통상자원부는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과 에콰도르 루이스 알베르토 하라미요 생산통상투자수산부 장관이 2일 서울에서 양국 통상장관 회담을 갖고 한·에콰도르 전략적경제협력협정(SECA) 협정문에 정식서명한다고 밝혔다.

SECA는 기존 관세 혜택중심의 자유무역협정(FTA)에 환경, 노동, 공급망, 의료 등 다양한 경제협력 요소를 보완한 협정이다.

한국과 에콰도르는 지난 2016년 협상개시 이후 총 9차례 공식협상을 통해 2023년 10월 전체 협상을 타결했다. 정식 서명을 완료한 한·에콰도르 SECA는 국회 비준 동의 등 잔여절차를 거쳐 발효된다.

에콰도르는 원유, 구리 등 에너지와 자원이 풍부하고 중남미 국가 중 정세가 안정적이다. 특히 미국 달러화를 사용하는 자유무역 국가인 만큼 투자 위험성이 적은 유망시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정부는 에콰도르를 교두보로 삼아 중남미 시장으로의 수출시장 다변화를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SECA가 발효되면 현재 최대 40%의 고율관세가 적용중인 우리 자동차의 경우 발효 후 15년 내에 관세가 철폐된다. 20년 내 철폐가 예정된 중국뿐만 아니라 FTA 미체결국인 일본 등 주요 경쟁국 대비 유리한 시장 접근 여건을 확보할 것으로 보인다.

또 중남미 내 한류 확산으로 주목받는 화장품, 라면 등 소비재와 의약품 관세도 철폐돼 관련 수출확대도 기대된다. 에콰도르 내 온라인 게임, 유통, 영화·음반 등 분야도 개방돼 현지에서 인기가 높은 K-콘텐츠 소비·수출 확대도 점쳐진다.

양측은 향후 SECA 발효에 필요한 국회 비준 요청 등 잔여 절차를 가속화하기로 했다. 여한구 본부장은 서명식에 앞서 개최된 양국 통상장관 회담에서 "글로벌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상황에서 양자 자유무역협정은 수출경쟁력을 강화하고 시장을 다변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또 "SECA 체결을 통해 양국 기업이 수출 확대와 시장 다변화를 위한 교두보를 확보할 것"이라며 "공급망 위기시 공조, IT, 중소기업 등 SECA 내 다양한 경제협력 근거를 적극 활용해 미래지향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