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운용 "중국 증시, AI·유동성 힘입어 10년 만에 투자 기회"

미래에셋센터원 사진미래에셋
미래에셋센터원. [사진=미래에셋]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중국 증시에 다시 주목해야 할 시점이 왔다고 밝혔다. 막대한 유동성과 인공지능(AI) 산업의 성장세가 맞물리며 10년 만에 찾아온 투자 적기라는 설명이다.
 
3일 열린 온라인 세미나에서 미래에셋운용은 "중국 본토에서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개설된 신규 증권 계좌 수가 1456만개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 늘었다"며 대규모 자금 유입의 신호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정의현 미래에셋자산운용 ETF운용본부장은 “중국 가계가 보유한 저축액이 약 160조위안(한화 약 3경원)에 이른다”며 “안전자산의 기대 수익률이 낮아진 상황에서 투자 자금이 증시로 이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계 예금 대비 증시 시가총액 비율은 2014년과 2024년에 저점을 찍은 상태이며, 이에 따라 상하이종합지수의 반등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 본부장은 AI 산업이 확산되고 자급률이 높아지는 흐름 속에서 중국의 주요 기술 기업들이 재평가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전기차, 휴머노이드 로봇, 바이오테크 등에서 중국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중국의 대표 전기차 기업 BYD는 올해 예상 판매량이 미국 테슬라의 3배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배터리와 반도체 등 핵심 부품에서 자체 기술 경쟁력도 확보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휴머노이드 로봇의 경우에는 국가 전략 산업으로 지정돼 있으며, 부품 공급망 안정성과 낮은 생산 비용이 중국 기업들의 성장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바이오테크 산업도 규제와 임상시험 환경이 다른 선진국에 비해 유연하고, 비용과 시간 면에서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됐다.
 
현재 미래에셋운용은 중국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17종을 운용 중이다. 국내에 상장된 차이나 ETF 가운데 개인 투자자 순매수 비중이 90%에 달한다고 밝혔다.
 
정 본부장은 중국 투자에 활용할 수 있는 ETF 상품으로 'TIGER 차이나글로벌리더스TOP3+', 'TIGER 차이나테크TOP10', 'TIGER 차이나반도체FACTSET' 등도 소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