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핵보유국 지위' 거듭 강조…"변경 시도 철저히 반대 배격"

  • IAEA 이사회 美 대표 '비핵화' 언급에 "부정적 후과" 경고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2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전날 미사일 총국 산하 화학재료종합연구원 연구소를 방문해 탄소섬유 복합재료 생산 공정과 대출력 미사일 발동기 생산 실태를 파악했다고 보도했다 사진연합뉴스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2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전날 미사일 총국 산하 화학재료종합연구원 연구소를 방문해 탄소섬유 복합재료 생산 공정과 대출력 미사일 발동기 생산 실태를 파악했다고 보도했다. [사진=연합뉴스]

북한이 스스로 '핵보유국 지위'를 다시금 강조하며 "현 지위를 변경시키려는 임의의 시도도 철저히 반대 배격할 것"이라고 밝혔다.

15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오스트리아 빈 주재 북한대표부는 전날 공보문을 통해 "책임적인 핵보유국으로서 국제사회 앞에 지닌 자기의 의무를 성실히 이행해 나갈 것"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앞서 최근 개최된 국제원자력기구(IAEA) 이사회에서 미국 대표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계속 전념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북한은 이를 겨냥해 "미국은 국제원자력기구 관리이사회 회의를 계기로 우리의 핵 보유를 '불법'으로 매도하면서 '비핵화'를 운운하는 엄중한 정치적 도발을 또다시 감행했다"며 "미국의 도발적 행태를 강력히 규탄 배격하며 그것이 초래할 부정적 후과에 엄중한 우려를 표시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번에 미국은 국제회의 마당에서 시대착오적인 '비핵화' 주장을 되풀이함으로써 우리의 헌법 포기, 제도 포기가 저들의 대조선 정책의 종착점이며, 우리와 공존할 의사가 없다는 것을 명백히 드러내 보였다"고 덧붙였다.

또 "우리의 핵 보유는 미국의 계속되는 핵 위협으로부터 국가의 주권과 안전을 믿음직하게 수호하고 힘의 균형을 보장하기 위한 필연적 선택"이라며 "국제적인 핵 전파 방지 제도의 근간을 허물고 있는 미국의 패권 행위야말로 국제 사회가 직면한 최중대 위협"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미국은 세계 최대의 핵보유국으로서 누구보다 핵 군축 의무를 성실히 이행해야 한다"며 "'확장억제력제공'과 비핵국가들과의 핵 공유 실현, 핵잠수함 기술 이전과 같은 우려스러운 핵전파 행위들을 즉시 중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북한은 IAEA에 대해서도 "30여년 전부터 우리와 공식 관계를 맺지 않고 있는 국제원자력기구는 핵무기전파방지조약(NPT) 밖에 존재하고 있는 핵보유국의 내정에 간섭할 아무런 법적 권한도, 도덕적 명분도 없다"고 반발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의 현 지위를 변경시키려는 임의의 시도도 철저히 반대 배격할 것이며 책임적인 핵보유국으로서 국제 사회 앞에 지닌 자기의 의무를 성실히 이행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북한이 이같이 미국의 비핵화 요구를 강력히 견제하며 '부정적 후과'를 예고한 것은 핵보유국 지위를 기정사실화하지 않을 경우 북·미 대화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경고로 풀이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