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광역시가 공공시설물과 전통시장의 안전성을 일제히 진단하고 있다.
안전대진단은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안전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오는 10월 30일까지 50일간이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른 전국 단위 점검으로, 광주시는 5개 자치구와 민간전문가, 시민안전관찰단이 참여하는 민·관 합동으로 진행한다.
또 CCTV통합관제센터와 연결된 방범비상벨 3226곳의 작동 여부도 점검한다.
특히 2023~2025년 집중 안전점검에서 지적된 보수·보강 미이행 시설의 후속조치 이행 여부를 확인하고, 안전점검시스템 이력 현행화도 병행한다.
광주시는 추석 명절을 앞두고 시민 이용이 많은 전통시장과 다중이용시설은 관련 법령에 따른 분야별 체크리스트를 활용해 화재·시설 안전 상태를 면밀히 살펴볼 예정이다.
또 화재안전 취약세대에 대해서는 단독경보형 감지기와 소화기를 지원한다.
시민안전관찰단 29명이 폐쇄회로텔레비전(CCTV) 방범비상벨 점검에 직접 참여하고 ‘안전점검의 날’과 연계한 자율 안전점검 홍보 캠페인을 벌일 계획이다.
광주시 김준영 시민안전실장은 “시민 일상과 밀접한 시설에 대한 선제적 안전관리 조치”라며 “현장 중심의 철저한 점검을 통해 사고를 예방하고, 시민이 안심할 수 있는 도시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