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 특검, 합참 작전본부장 재소환…무인기 작전 지휘 의혹 조사

  • 尹 '북 도발 유도' 지시 여부 규명…합참 패싱 의혹 부각

  • 김용현 전 장관 조사 준비…정부 각료 수사 본격화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해 5월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중장 진급·보직 신고 및 삼정검 수치 수여식에서 이승오 합동참모본부합참 작전본부장의 삼정검에 수치를 달아준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해 5월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중장 진급·보직 신고 및 삼정검 수치 수여식에서 이승오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의 삼정검에 수치를 달아준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2·3 비상계엄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무인기 작전에 관여한 군 관계자 조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19일 이승오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육군 중장)을 재소환했다.

특검팀은 이날 오전 9시 40분께부터 이 본부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 중이다. 이 본부장은 평양 무인기 침투 작전의 지휘체계에 있는 인물이다.

특검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의 명분을 마련하기 위해 북한의 도발을 유도하려는 목적으로 평양 무인기 침투 작전을 지시했다고 의심한다.

이 과정에서 '합참의장→합참 작전본부장→드론사령관'으로 이어지는 정상 지휘체계를 벗어났고, 당시 경호처장이던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등이 관여했다는 '합참 패싱' 의혹도 제기됐다.

특검팀은 전날엔 김명수 합참의장(해군 대장)과 김용대 전 드론작전사령관(육군 소장)을 각각 참고인과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한 바 있다. 

오는 22일에는 서울동부구치소에 수용된 김 전 장관을 찾아가 조사할 예정이다.

특검팀은 당초 김 전 장관에게 이날 출석해 조사 받으라고 통보했으나, 김 전 장관 측은 건강 악화 등을 이유로 불응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내란 특검팀은 이날 순직해병 특검팀이 박 전 장관에 대한 수사 과정에서 확보한 자료를 제출받기 위해 법원으로부터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 받아 집행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검팀이 계엄 과정에 관여된 당시 정부 각료 가운데 핵심 인물 중 한 명인 박 전 장관의 소환 조사를 앞두고 조사를 준비하는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