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백악관 '北 전제조건 없는 대화' 언급에 "비핵화, 일관된 목표"

  • 백악관 "대북 정책 변함 없다"…'비핵화' 직접 언급 안 해

  • 양무진 "대화 유인 메시지…만남 중점 의도의 현실적 접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사진=연합뉴스]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전제조건 없이 대화할 의사를 갖고 있다는 백악관 발언과 관련해 "비핵화는 한·미를 포함한 국제 사회의 일관된 목표"라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외교부는 1일 "한·미 양국은 한반도 평화 및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북한과의 대화에 열려있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밝혀 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아울러 "한·미 양국은 북·미 대화를 포함해 대북 정책 전반에 관해 긴밀한 소통과 공조를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백악관 관계자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트럼프 행정부는 (김정은 위원장이 최근 거론한대로) 핵 문제를 언급하지 않고도 북한과 대화하는 데 열려 있느냐'는 연합뉴스의 질의에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과 어떤 전제 조건 없이 대화하는 것에 여전히 열려 있다"고 답했다.

이 관계자는 또 "미국의 대북 정책은 변함이 없다"고 말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기존 미국 정부의 원칙과 목표에 변화가 없다는 점을 시사하기도 했다.

다만 '북한 비핵화'라는 표현을 직접 언급하지 않은 점은 북·미 대화의 분위기 조성 측면을 의식한 것으로 볼 여지가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는 이번 백악관 답변에 대해 "북한이 비핵화 불가입장을 절대고수하는 상황에서 북한을 대화 무대로 유인하는 메시지"라며 "일단 비핵화 협상 전제 협상보다는 만남과 대화 재개에 중점을 두겠다는 의도로 현실적인 접근"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북한은 이날 주민들이 보는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 1면 기사를 통해 "우리 당과 국가는 제국주의의 침략성과 약탈성이 그 어느 때보다 횡포해지고 있는 현 세계에서 국권과 국익을 굳건히 수호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주민들을 대상으로도 '비핵화 불가' 방침의 정당성을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